1. 배경 2. 기계부품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3. 기본 정책방향 4. 부품산업의 육성방안 5. 부품산업의 기술혁신 전략 6. 종합의견
1. 기술개발활동에 대한 총괄현황 2.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평가 3. 중소기업 기술지원에 대한 평가 4. 중소기업 혁신을 위한 과제
1.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성 2. 새로운 과학기술정책의 모습 3. 새로운 과학기술정책의 체계와 영역 4. 새로운 과학기술정책의 구조 5. 새로운 과학기술정책을 실현하기 위한 과제 6. 맺음말
1. 배경 2. 부품ㆍ소재산업의 현황과 문제점 3. 정부의 관련대책 4. 시사점과 의견
1. 유전정보 해독 프로젝트 개요 유전정보 해독의 기본성격 인간유전자 완전해독의 영향 2000년 후반기 인간 유전자 완전해독 예정 우리나라 연구자들의 오판과 실기 2. 선진국 동향 미 국 영 국 일 본 3. 우리나라의 연구현황 개 요 현재 추진 상황 4. 문제점 검토 및 향후 과제 문제점과 해결방안 우리나라 Genome Project 운영상 개선방안
1. 문제제기의 동기는? 2. 지식기반사회에 대하여 어떤 정책이 추진되고 있는가? 제4차 국토종합계획(&lsquo99. 7, 건설교통부) 지방과학기술진흥종합계획(&lsquo99. 9. 과학기술부) CYBER KOREA 21(&lsquo99. 3, 정보통신부) 기타 관련 정책 3. 지식기반사회로 이행하는데 필요한 과제는? 4. 무엇이 문제인가? 5. 어떻게 할 것인가? 6. 건의드릴 내용은?
1. 21세기 푸른마을 운동의 배경 및 필요성 2. 21세기 푸른마을 운동의 목표 3. 미래 생활환경을 고려한 21세기 푸른마을 모델 수립 4. 21세기 푸른마을 운동의 내용 5. 21세기 푸른마을 운동 사업의 시장규모 평가 6. 기대효과
目 次 Ⅰ. 推進背景 Ⅱ. 大德硏究團地 現況 Ⅲ. 무엇이 問題인가? Ⅳ. 어떻게 해야하나? Ⅴ. 推進課題 Ⅵ. 結論 및 建議 主要內容 Ⅰ. 推進背景 大德硏究團地를 기존 [學·硏] 단지에서 [産·學·硏]複合團地로 그 기능을 强化·改編함으로써, 大德團地를 21세기 우리나라 技術革新의 總本山으로 育成하고자 함. Ⅱ. 大德硏究團地 現況 敷地 使用 및 投資現況 : '73-'98 기간 중 834만평의 부지에 총 3조 9,741억원을 투자하여 硏究와 敎育 인프라를 構築 入住機關 現況 : 66개의 機關에서 14,332名의 硏究人力이 활동 Ⅲ. 무엇이 問題인가? 國家的 目標管理 體制 未洽 産·學·硏 協力體制 未洽 産業現場 中心의 技術人力 養成 低調 [고인물 現狀]深化와 自立意志 不足 Ⅳ. 어떻게 해야하나? < 3대 基本目標 > 1) 國策硏究開發事業의 전략적 中心으로 跳躍 2) 신기술 創業保育과 벤처企業 育成中心으로 發展 3) 실천적 專門技術人力 養成의 中心으로 成長 Ⅴ. 推進課題 1. 尖端知識産業의 搖籃으로 育成 團地 運營哲學의 劃期的 轉換 확고한 尖端知識産業의 搖籃 構築 2. 出捐硏究所의 역할 再定立 명확한 中長期 科學技術目標와 實踐計劃의 수립 출연기관 3개 硏究會의 機能 强化 硏究課題中心制度(PBS)의 現實的 補完 3. 海外企業 誘致 및 벤처기업 創業 促進 團地內 産業生産기능 擴充 海外 尖端企業 誘致로 수출산업 育成 및 雇傭創出 國策硏究成果의 技術移轉 및 實用化 促進 4. 産業現場 위주의 高級 核心專門人力 養成 團地內 硏究機關 共同으로 [聯合大學院 大學]을 설립 韓國科學技術院의 産·硏 連繫기능 强化 産·學·硏 人力의 자발적인 循環配置 促進 5. 科學技術者의 優待强化 및 科學文化 擴散 科學技術者에 대한 優待 强化 科學技術文化의 擴散 Ⅵ. 結論 및 建議 大德硏究團地와 隣近의 대전과학산업단지, EXPO 과학공원을 統合하여 - 민간주도의 [專門管理機構]를 설치하고 - 新技術創業 綜合支援 및 創業保育을 전담하는 [技術移轉 센터]를 설치하며 - 산업현장 專門技術人力 양성을 전담할 [聯合 大學院 大學]의 設立이 必要 海外 尖端企業의 誘致를 통한 尖端技術의 도입과 고급인력의 국내유입을 위해 産·學·硏 복합형태의 國際적인 [尖端科學産業特區]의 설치를 建議 - 별도 特區設置法의 제정 또는 기존법의 개정 검토
1. 科學英才敎育, 왜 필요한가? 2. 우리나라 科學英才敎育의 현황과 문제점 3. 外國의 英才敎育 事例 4. 科學英才 敎育體制 確立方案 5. 建議事項 주요내용 1. 科學英才敎育, 왜 필요한가? 21세기 知識基盤社會에 있어서 국가간의 우열은 頭腦競爭에 좌우되고 있으나, 오늘의 우리 현실은 이에 대응할 고급 두뇌양성 政策이 미흡하며, 英才들의 創意性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교육제도와 사회환경의 조성이 미비 2. 우리나라 科學英才敎育의 현황과 문제점 過去의 競爭入試制度에서 現 平準化 入試制度로 바뀜에 따라 영재발굴시스템이 不在인 상태이며, 현재의 과학고등학교와 한국과학기술원은 英才敎育機關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1) 科學英才 敎育體系 側面에서의 문제 어린 영재들에 대한 受容態勢 미흡 科學高도 창의적인 영재양성에는 한계 대학과정에서의 제도적 英才敎育 微弱 2) 敎育인프라 側面에서의 문제 專門的인 영재육성 환경 미흡 영재교육 豫算不足 및 영재육성의 底邊擴大 隘路 영재에 대한 事後管理 및 活用에 소극적 3. 外國의 英才敎育 事例 美國 : 1932년부터 영재교육을 시작하여 1988년 英才敎育法을 제정하고 英才敎育硏究所를 설치하여, 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사연수를 실시함. 이스라엘 : 1973년부터 敎育文化部에 전담부서를 설치하여 전국 상위 3%내에 속하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대학생까지 英才敎育을 義務化 4. 科學英才 敎育體制 確立方案 추진목표 : 科學英才의 早期發掘 양성으로 소수정예의 고급두뇌 확보 및 세계 경쟁우위 선점. 추진방향 : 획일적, 형식적인 영재교육을 능력에 따른 차별화 교육 및 목적지향적 영재교육으로 전환 推進 및 運營課題 과제 1) [英才敎育硏究所]의 설립 과제 2) [科學英才學校] 운영 과제 3) 창의적이고 內實있는 科學高의 운영 과제 4) 科學英才敎育을 위한 인프라 강화 5. 建議 事項 단기적으로 英才敎育硏究所를 설립하여, 차별화된 맞춤식 科學英才프로그램을 실험적으로 실시하고, 중·장기적으로 과학영재프로그램의 운영경험을 바탕으로 科學英才學校를 설립함. 이를 위해 英才敎育振興法의 제정하고,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豫算支援을 확대
1. 주요내용 2. 외국과 우리나라의 제조업 비중과 전망 3. 시사점 4.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