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 관 명 내 용 한국과학기술 단체총연합회(KOFST) ▶ 간행물 - 경계를 넘어선 데이터, 플랫폼 연계 환경 조성하려면?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KISTEP) ▶ 보고서 - 2024년 기술영향평가 ▶ 행사 - [제174회 수요포럼] 인공지능 시대 혁신 생태계 선도 전략(3/26) 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 ▶ 간행물 - 2024 KAST Annual Report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 간행물 - KEIT 기술통계리포트 2025-3월 3주차 NPU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 ▶ 기타 - 국가 연구데이터 법제화 논의, 국회서 본격 추진 한국과학창의재단 (KOSAC) ▶ 동향리포트 - 트럼프 정부, 중국을 주요 기술·과학 경쟁자로 지목 - AI는 빈곤 등 사회문제 해결의 열쇠가 될 수 있을까? - 미국의 과학 연구 예산 삭감, 미래 혁신을 위협 ▶ 기타 - 2024년 과학창의 통계일람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 발간물 - AI 기반 소프트웨어 정의 공장을 활용한 제조 혁신 - 인간-휴머노이드 AI간의 언어 형상화와 사용자 경험 - 저작권법에서 본 데이터 윤리
기 관 명 내 용 한국과학기술 단체총연합회(KOFST) ▶ 간행물 - 딥시크 쇼크, 국가 AI 경쟁력 강화 위한 패러다임 전환 필요하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KISTEP) ▶ 보고서 - 미래 전략기술 경쟁력 강화 및 거버넌스 운영에 관한 연구 -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연구(5차년도): 제7회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사전기획 연구 - 혁신적·도전적 R&D 육성 정책 기반 연구 ▶ 발간물 - 출연연 탄소중립 분야 연구 성과 현황 및 시사점 ▶ S&T GPS -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81호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 정책간행물 - [2025년 4호] (통합본) 산업기술 동향워치 - (이슈포커스) 미국 AI 인프라 확충을 위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美 Counterpoint, 1.23) - (산업‧기술동향) 딥시크 등장으로 인한 AI 인프라 전환 추세 점검 (臺 TrendForce, 1.30) - (산업‧기술동향) 반도체 칩렛 기술 개발 동향과 향후 전망 (日 미쓰이물산전략연구소, 2.7) - (산업‧기술동향) 생성형 AI를 활용한 자율주행 기술 ‘AV 2.0’ 등장 (PwC, 2.10) - (산업‧기술동향) 미국 SMR 개발 동향과 전망 (日 미쓰이물산전략연구소, 1.31) - (정책동향) 글로벌 로봇 R&D 프로그램 개괄 (IFR, 1月) - (정책동향) 미국향 철강·알루미늄 수입품에 25% 관세 적용 (美 White House, 2.10) - (정책동향) 미국의 캐나다·멕시코 관세 부과 영향 예측 (美 Brookings, 2.3) - (정책동향) 광물안보파트너십 의장국으로서 한국의 우선 과제 (美 CSIS, 1.28)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 간행물 - KEIT 기술통계리포트 2025-3월 2주차 마찰용접 기술 - 테크 포커스 2025년 2월호 (Vol.16) - 테크 포커스 2025년 3월호 (Vol.1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 ▶ 보고서 - R&I Report: 건물형태양광(BIPV) 과학·기술·산업 분석 - R&I Report: 사이버보안 과학기술·산업 분석 - R&I Report: 인공지능 기술·산업 분석 - R&I Report: 메모리 반도체 기술·산업 분석 - R&I Report: 시스템 반도체 기술·산업 분석 한국과학창의재단 (KOSAC) ▶ 동향리포트 - 학생들이 찾아낸 창의적인 챗GPT 활용법은? - 기후 변화로 사라지는 일본의 사계절 ▶ 기타 - 2024 수학 나눔성장 사제동행팀 합동캠프 프로그램북 - 디지털새싹 인재상 정립 및 핵심역량 모델링 한국개발연구원(KDI) ▶ 월간지 - KDI 경제동향 2025. 3
기 관 명 내 용 한국과학기술 단체총연합회(KOFST) ▶ 간행물 - 식탁 위 숨겨진 건강 비밀, ‘마이크로바이옴’이 여는 미래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KISTEP) ▶ 보고서 - 출연연 주요 이슈와 R&D 성과에 대한 탐색 연구 - 2024년 성과평가 정책수립·운영 및 평가실시 - 사회문제해결 R&D의 사회적 가치 평가체계 개발 및 제도화 방안 연구: 시범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2024년 연구성과 관리‧활용 및 운영지원 -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 2024년도 과학기술분야 정책점검 체계 구축 및 국가과학기술현황 종합인식조사 연구 - 지역 R&D 성과데이터 연계를 통한 정부R&D 투자 효과성 분석 및 이슈발굴 연구 - 농림수산식품 분야 국가R&D 정책연계 및 전략성 강화를 위한 체계개선 방안 연구 - 2024년 전략적 R&D예산 배분 및 편성을 위한 정책기반 구축에 관한 연구 ▶ 발간물 - 일본 연구중심대학 추진 현황 및 시사점 - 국제탁월연구대학을 중심으로 - 트럼프 2기 행정부 미국 우주 정책의 전망과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 간행물 - 지역 혁신창업생태계 현황과 과제 ▶ 간행물 - 국가난제 정책관리 전략성 제고를 위한 변혁적 STI 관점의 행정계획 개선방안 연구 - 2025 글로벌 리스크⸱트렌드 전망에 대한 한국 혁신전략 관점의 해석과 시사점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 정책간행물 - [정책브리프 2025-2]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자동차 산업 정책 방향 한국과학창의재단 (KOSAC) ▶ 동향리포트 - 한눈에 보는 2023 KOSAC SNS-View - 2025년 주목해야 할 미국의 교육 정책 - 과학기술 분야 정부 출연연 운영 규정 시행 - 중국, 학교 수업에 인공지능 기술 도입 활용 - 포스트-소셜(post-social) 사회와 과학 소통 한국개발연구원(KDI) ▶ 월간지 - KDI 북한경제리뷰 2025년 2월 - 나라경제 2025. 3 - Economic Bulletin, March 2025
3기 과기자문회의 출범…합동 워크숍 개최 (연합뉴스/25.2.28) 국가과학기술자문위, 3기 민간위원 구성…경계현 고문 등 위촉 (서울경제/25.2.28) 신임위원 구성한 과기자문회의 “대내외 여건 엄중...과학기술에 기대 크다 (문화일보/25.2.28)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3기 민간위원 위촉 및 합동 연찬회 개최 (매일안전신문/25.2.28) * 기사 제목을 클릭하시면 기사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기 관 명 내 용 한국과학기술 단체총연합회(KOFST) ▶ 간행물 - 강철의 미래에 대한 ‘깊은 통찰’··토크콘서트 ‘과학, 시대를 잇다’ ▶ 행사 - [과총포럼] 딥시크 쇼크, 국가 AI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2/28)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KISTEP) ▶ 보고서 - 2024년 지역 R&D 실태조사 - 2024년 지방과학기술 연감 - 2024년 과학기술 분야 R&D 제도 혁신 기반 연구 - 무기체계의 효과적인 확보를 위한 국방R&D 투자전략 연구 - 유도무기체계를 중심으로 - - 정부R&D 등록·기탁 성과물 심층분석 연구 - 2024년도 과학기술혁신정책 핵심이슈 발굴 및 인텔리전스 기능강화 연구 - 2024년 이슈페이퍼 및 정책브리프 발간을 통한 정책역량 강화방안 연구 - 국가연구개발사업 간접비 산출 및 제도 운영에 관한 연구 - 제5차 국가연구개발 성과관리·활용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과제 발굴 연구 ▶ S&T GPS -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80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 간행물 - 지역 혁신창업생태계 현황과 과제 ▶ 보고서 - AI 반도체 및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방안 연구 - OECD 과학기술정책위원회(CSTP), 기술혁신정책작업반(TIP) 및 글로벌과학포럼(GSF) 활동 참여 및 조사·분석(2024년) - OECD 바이오나노융합기술작업반(BNCT) 활동 참여 및 지원(2024년) - 「2024년 실험실창업 실태조사 연구」 용역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 정책간행물 - 피벗(Pivot)의 시대, 2025 산업기술 정책아젠다 - 트럼프 2.0 출범에 따른 산업기술정책 아젠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 발간물 - KEIT 이슈픽 2025-1~2월호 통합본(산업기술R&D 24년 연구개발성과 및 25년 추진계획) - KEIT 기술통계리포트 2025-2월 4주차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 [KEIT TRENDLINE] 2025-02. CES 2025와 KEIT R&D 지원방향 - [KEIT TRENDLINE] 2025-03. 국내외 휴머노이드 R&D 동향과 미래전망 한국연구재단(NRF) ▶ 보고서 - 2024년도 과학기술정책 이슈 대응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 부처별 학문분류체계 현황 조사 및 학문분류 간 통합적·합리적 운영 방향 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 ▶ 보고서 - 미·중 기술패권과 트럼프 2기: 바이오 기술의 게임체인저 전략 - Market Insight 293 : 자동차 필터 - Market Insight 292 : 무색 폴리이미드 필름 한국과학창의재단 (KOSAC) ▶ 보고서 - 2024년 과학교육 데이터북 - 미래사회 혁신 선도 과학교육 정책 수립을 위한 데이터 조사 분석 중간보고서 ▶ 동향리포트 - 과기부, 중·장기 정책에 근거한 R&D 투자 강화 - 일본, 2040년 온실가스 감축 및 개정 에너지 정책 발표 - 아·태지역 과학기술 정책 협력 추진 - 영국, 시민 주도의 디지털 권리 및 원칙 선언 채택 촉구 한국개발연구원(KDI) ▶ 보고서 - 기초연금 선정방식 개편 방향 ▶ 행사 - 한국은행-KDI 노동시장 세미나 : 노동시장 구조 변화와 대응 방안(3/5) - 개발도상국과의 에너지ㆍ인프라 분야의 양자협력 세미나(3/7)
[인터뷰] 최양희 한림대 총장 “‘딥시크’ 일군 건 인재… 韓 AI 연구 인력 中 20분의 1 수준” (조선비즈/2025.2.17) * 기사 제목을 클릭하시면 기사 원문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