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 관 명 내 용 한국과학기술 기획평가원(KISTEP) ▶ 보고서 - [기술동향브리프 4호] 스마트 디바이스용 센서 ▶ 행사 - 제132회 수요포럼 개최 로봇이 바꾸는 미래 의료 현장(4.14(수) 11:30, 온라인) 한국과학기술 단체총연합회(KOFST) ▶ 보고서 - 2020 연차보고서 ▶ 기타 - [Webzine 794호]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가 보건 대응체계 점검 ▶ 행사 - 제38회 국민생활과학기술포럼(국제사회에 약속하는 기후목표 ‘2050 탄소중립’ 묻고 답하기 (5.3(월) 15:00, 온라인) 과학기술 정책연구원(STEPI) ▶ 보고서 - [Insight 270권] 영국의 스케일업 모니터링 체계와 한국에의 시사점 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 ▶ 자료집 - 제185회 한림원탁토론회 : 출연연구기관의 현재와 미래 (’21.4.15. 15:00 / 한림원 유튜브) 한국연구재단(NRF) ▶ 보고서 - 범부처 수소 기술개발사업 공동연구용역 (정책연구용역보고서, 21.04.09) -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사업(ACE+)성과 종합 분석 및 백서 발간 (정책연구용역보고서, 21.04.13)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 정책간행물 - [2021년 6호] (통합본) 산업기술 동향워치 한국과학기술 정보연구원(KISTI) ▶ 보고서 - 지식정보인프라 81호 한국과학창의재단 (KOFAC) ▶ 보고서 - 2020년 창의융합형정보교육실 구축 사례집 - 2020년 노동인권 주제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보급 연구 최종보고서 - 2020년 SW영재학급 지원사업단 최종보고서 NSF ▶ 행사 - IUCRC: Center for Disruptive Musculoskeletal Innovations (CDMI) IAB Meeting (’21.4.19) - Advisory Committee for Cyberinfrastructure (’21.4.19-20) - IUCRC: Science Center for Marine Fisheries Science (SCeMFiS) IAB Meeting (’21.4.20-21) - BRITE Program Webinar(’21.4.20) - Invention to Impact Wireside Chat(’21.4.21) - NSF EPSCoR RII Track-4 Virtual Office Hours(’21.4.21) - IUCRC: Advanced Electronics through Machine Learning (CAEML) IAB Meeting(’21.4.22-23) - National Science Board Executive Committee (EC) Teleconference(’21.4.22) - 2021 NSF Engineering CAREER Proposal Writing Workshop(’21.4.22) - BIO/MCB HBCU EiR Webinar(’21.4.22) - NSF BIO Distinguished Lecture Series(’21.4.23) - 2021 NSF Engineering CAREER Proposal Writing Workshop(’21.4.23) - DMS Virtual Office Hours(’21.4.23) OECD ▶ 연구보고서 - Mission-oriented innovation policy in Japan(’21.4.13) - What future for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after COVID-19?(’21.4.13) - Policies for a climate-neutral industry(’21.4.15) - OECD International Survey of Science(’21.4.16)
기 관 명 내 용 한국과학기술 기획평가원(KISTEP) ▶ 보고서 - 일본의 제6기 「과학기술·혁신기본계획」 주요 내용과 시사점 한국과학기술 단체총연합회(KOFST) ▶ 기타 - [Webzine 793호] 보건의료 디지털 전환, 장기적 관점 접근 필요 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 ▶ 행사 - 과총-한림원 공동포럼(COVID-19와 우리나라 보건의료의 미래) (’21.4.9.(금) 15:00 / 과총회관) - 제185회 한림원탁토론회 : 출연연구기관 발전방향(안) (’21.4.15.(목) 15:00 / 엘타워) ▶ 자료집 - 제184회 한림원탁토론회 : 탄소중립 2050 구현을 위한 과학기술 도전 및 제언 (’21.4.7. 15:00 / 한림원 유튜브) 한국연구재단(NRF) ▶ 보고서 - 원자력 분야 R&D의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국민인식 제고 방안 연구 (정책연구용역보고서, ’21.4.7) - 학술지원 저술성과 확산을 위한 대학출판조직 지원 방안 (이슈리포트 2021-7호, ’21.4.5) - 시뮬레이션 기반 가상 핵융합로 개발 사전기획 연구 (정책연구용역보고서, ’21.4.2)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 정책간행물 - [정책브리프 2021-03] 기후 주도 무역 아젠다를 위한 제언 한국산업기술평가 관리원(KEIT) ▶ 기타 - KEIT PD 이슈리포트 2021-4월호 : 이슈4(전기자동차 배터리 팩 고밀도화 기술) 에너지경제연구원(KEEI) ▶ 정기간행물 -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21-07호 : 중국의 전력시스템 개혁 등 - 세계 원전시장 인사이트 : 3D 프린팅 기술의 핵연료제조 응용현황 및 시사점 한국환경정책평가 연구원 ▶ 기타 - 제71호 : 순환경제 이행 진단을 위한 모니터링 지표 개발 연구 - 제72호 : 스마트 지속가능도시로의 전환 전략 OECD ▶ 연구보고서 - Measuring Tax Support for R&D and Innovation - Mission-oriented innovation policy in Norway-Challenges, opportunities and future options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4기 자문위원 선임(전자신문) 대통령 직속 기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4기 자문위원 선임(뉴스1)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4기 출범..자문위원 8명 신규 선임(헤럴드경제) 과학기술자문회의 4기 출범 ..탄소중립·공공 R&D 자문(동아사이언스) 4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출범..탄소중립 등 과기계현안 자문(연합뉴스) 제4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출범..염한웅 부의장 연임(디지털타임스) * 기사 제목을 클릭하시면 기사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 문재인 정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4기 자문위원이 새롭게 위촉되었다. o 문재인 정부 들어 통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로 개편된 이후 자문회의는 제1기(‘18년), 제2기(‘19년), 제3기(’20)에 이어 제4기가 출범하게 되었으며, 위원의 임기는 1년이다.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①자문회의(대통령 자문 기능)과 ②심의회의(정책 및 예산 심의 기능)으로 구성되며, 이번에 선임된 위원은 ①자문회의 위원임. o 염한웅 부의장은 제1기~3기에 이어 부의장을 연임(‘21.3.13~’22.3.12)하게 되었으며, 하경자 위원이 연임되는 등 총 8명의 위원이 새로 위촉(‘21.4.2~’22.4.1)되었다. 임기가 남아 있는 4명의 위원(‘21.6.11일 종료)을 포함하여 총 12명이 제4기 자문회의를 꾸려나가게 된다. o 새로 위촉된 8명 중 5명이 여성위원이며, 분야별로는 에너지ㆍ환경ㆍ공공R&Dㆍ과학기술 인재양성 정책 등 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산·학·연 인사가 두루 포함되었다. o 새롭게 출범하는 제4기 자문회의는 탄소중립, 공공 R&D, 여성 과학기술인력 지원 등 주요 과학기술계 현안에 대해 중·장기적 시각에서 심도있고 실현가능한 정책방향을 대통령에게 자문해 나갈 예정이다.
기 관 명 내 용 한국과학기술 기획평가원(KISTEP) ▶ 보고서 - 지속가능한 통합물관리 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건축물 안전 예측 및 대응 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디지털 라이브 국토정보 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첨단 산림생명공학기술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원전해체핵심 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2020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상위평가보고서(종료평가) - [K-브리프] 2호 2019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한국과학기술 단체총연합회(KOFST) ▶ 행사 - 제23차 과총-의학한림원-과기한림원 공동포럼(COVID-19와 우리나라 보건의료의 미래)(4.9(금) 15:00, 온라인) ▶ 기타 - [Webzine 792호] 포스트 코로나 대비 정서질환 해결책 모색해야 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 ▶ 행사 - 제184회 한림원탁토론회-탄소중립2050 구현을 위한 과학기술 도전 및 제언 (’21.4.7(수) 15:00 / 온라인) ▶ 기타 - 제183회 한림원탁토론회-인공지능 시대의 인재 양성(’21.4.2(금)) 한국과학기술 정보연구원 (KISTI) ▶ 보고서 - [이슈브리프 31호]지역균형 뉴딜의 성공을 위한 지역 R&D 혁신 지원 체제 - 3D 프린팅 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연구재단(NRF) ▶ 보고서 - 글로벌박사양성사업 연구성과 및 진로분석 연구(정책연구용역보고서) - THE 2021년 일본대학 순위결과와 코로나시대의 대학교육(NRF R&D Brief) -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 연구윤리 위반 사례에 관한 연구(이슈리포트)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 정책간행물 - (중견기업 이슈리포트)미들마켓 인사이트 2020 vol.3 에너지경제연구원(KEEI) ▶ 기타 - [발표자료] 에너지경제연구원 2020년도 연구성과 발표회 정보통신 정책연구원 (KISDI) ▶ 보고서 - [연구동향] 2020년 ICT기반 사회현안 해결방안 연구 : 인공지능 사회정책 이슈와 대응 방향 고찰 - [초점] 모바일 앱 카테고리별 시장구조 및 이용시간의 변화(2019년 ~2020년) - 코로나19 전후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행태 비교: 초중고교생의 시간대별 이용 매체, 매체 이용 행위 및 장소를 중심으로 - 마케팅연구에서의 머신러닝/AI 활용 동향 - [시장동향] 터키의 방송시장과 한-터키 방송 콘텐츠 교류 현황 NSF ▶ 통계보고서 - Survey of Graduate Students and Postdoctorat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Fall 2019 - Trends for Graduate Student Enrollment and Postdoctoral Appointments in Science, Engineering, and Health Fields at U.S. Academic Institutions between 2017 and 2019 OECD ▶ 연구보고서 - Blueprint for improved measurement of the international ocean economy
기 관 명 내 용 과학기술 정책연구원(STEPI) ▶ 보고서 -[Insight 269〕K-뷰티 산업의 혁신원천 분석과 지속가능성 진단 한국과학기술 기획평가원(KISTEP) ▶ 보고서 - 2021년과 그 이후를 지배할 7대 메가트렌드 - 수소생산 - [자료집] 제 131회 KISTEP 수요포럼 한국과학기술 단체총연합회(KOFST) ▶ 행사 - 내일을 준비하는 뇌연구 공동포럼(코로나시대의 정서질환과 뇌연구) (3.25(목) 15:00, 온라인) ▶ 기타 - [Webzine 791호] 패스트 팔로워는 그만, 창의·선도형 연구개발로 전환해야 한국과학기술한림원(KAST) ▶ 행사 - 제46회 한림국제심포지엄(’21.3.31, 8:30~13:00, 온라인 웨비나) - 제183회 한림원탁토론회-‘인공지능 시대의 인재 양성’(’21.4.2, 15:00, 온라인) 한국과학창의재단 (KOFAC) ▶ 이슈페이퍼 - [KOFAC ISSUE PAPER 2021-1] 코로나19 시대의 과학 커뮤니케이션. 위험 사회에서 과학 소통이 중요한 이유 한국산업기술평가 관리원(KEIT) ▶ 간행물 - KEIT PD 이슈리포트 2021-3월호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 정책간행물 - [2021년 5호] (통합본) 산업기술 동향워치 산업연구원(KIET) ▶ 기타 - 2021년 No.11.포스트 코로나 시대 그린스완에 대처하는 산업계 대응의 글로벌 동향 (3/16) OECD ▶ 보고서 - Demand for AI skills in jobs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3 제2장 이공계 대학원의 외국인 유학생 현황 ·······························6 제1절 전체 외국인 유학생 현황 ············································································································6 제2절 이공계 대학원의 외국인 유학생 현황 ····················································································14 제3절 외국인 유학생의 특성 ················································································································20 제3장 외국인 유학생 관련 정책 및 사업 현황 ····························35 제1절 분석의 개요 ··································································································································35 제2절 외국인 유학생 관련 주요 정책 현황 ······················································································39 제3절 외국인 유학생 관련 주요 사업 현황 ······················································································45 제4절 외국인 유학생 관련 정책의 한계 및 시사점 ········································································55 제5절 주요국의 외국인 유학생 관련 정책 현황 ··············································································58 제4장 외국인 유학생 유치․활용의 현황 및 문제점 ························113 제1절 외국인 유학생 인터뷰 결과 ····································································································113 제2절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담당자 인터뷰 결과 ········································································120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31 제1절 이공계 대학원 외국인 유학생 현황과 과제 ········································································131 제2절 외국인 유학생 정책 개선 방안 ······························································································135 참고문헌 ·····························································138
기 관 명 내 용 한국과학기술 기획평가원(KISTEP) ▶ 보고서 - [K-브리프] 2019년 한국의 과학기술논문 발표 및 인용 현황 - 2019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보고서 한국과학기술 단체총연합회(KOFST) ▶ 기타 - [Webzine 790] 반려동물 코로나19 감염 가능성 극히 희박 한국과학기술 정보연구원(KISTI) ▶ 보고서 - 2020 연차보고서 - 2020 성과사례집 한국연구재단(NRF) ▶ 보고서 - 사회경제 동향과 미국・일본・한국의 과학기술 혁신 정책 변화 - 2021년 세계수학의 날 메시지(더 나은 세상을 위한 수학)가 주는 시사점 -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기본계획」 수정·보완방안 마련「산학연협력인프라」 (정책연구용역보고서)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 연구보고서 - 소재부품기술기반혁신사업 개편방안 연구용역 산업연구원(KIET) ▶ 보고서 - 그린뉴딜을 이끌 해양재생에너지 혁신전략 - 부유식 해상풍력과 해양에너지 - [산업동향] KIET 경제 · 산업동향 2021년 3월 1호 정보통신 정책연구원 (KISDI) ▶ 보고서 - 코로나 팬데믹과 AI 트랜스포메이션 : AI의 확산 및 경제적 성과 - 국내 홈쇼핑방송 환경 변화 분석 OECD ▶ 연구보고서 - The role of innovation and human capital for the productivity of industries -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