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기관소개
부의장 인사말 기관소개 주요 연혁 찾아오시는 길 지원단
전원 · 심의회의
심의위원 주요활동 산하 위원회 심의안건
자문회의
자문위원 주요활동 자문의제 소위원회 활동 정책연구보고서 백서
3대 이니셔티브
개요 AI-반도체 첨단바이오 퀀텀
국민소통
새소식 정책 및 연구 동향 보도자료 언론기사 포토갤러리 홍보자료 해외주요기관
KOR ENG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검색창 닫기
“”에 대해 1018건의 결과를 찾았습니다.

통합검색 더보기

국민소통

(검색결과 1018건)
  • 언론기사
    [TBS 뉴스] 염한웅 부의장 "새로운 감염병 또 온다... 공공 R&D 내실화가 관건"

  • 언론기사
    "새로운 감염병 또 온다...공공 R&D 내실화가 관건"(염한웅 부의장)

    염한웅 부의장 "새로운 감염병 또 온다...공공 R&D 내실화가 관건" 2020.06.29 | TBS * 기사 제목을 클릭하시면 기사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 포토갤러리
    제11회 심의회의 개최(20.06.26)

  • 보도자료
    [보도자료]제3기 심의위원 5명 추가 선임

    □ 문재인 정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3기 심의위원 5명이 6월 27일자로 신규 위촉(임기 : ’20.6.27∼’21.6.26)되었다.   o 이로서 공석이던 1명의 위원과 최근 임기가 종료된 4명의 위원(이영무, 최영주, 서중해, 홍성주)을 모두 충원하여 총 10명의 위원으로 심의회의를 꾸려가게 된다.   □ 새로 위촉된 신규위원은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전문성 및 연구성과, 정책경험, 산·학·연 구성 비율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선정되었으며, o 대학 및 출연(연) 우수 연구자와 경제·산업분야에서 전문적 식견과 경험을 갖춘 인사가 포함되었다.  

  • 보도자료
    [보도자료]제11회 심의회의 개최 결과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6월 26일(금) 오후 4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염한웅 부의장 주재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11회 심의회의’(이하 심의회의)를 개최하여,   ㅇ 「2021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 1개 안건을 심의‧의결하고, 「과학기술인재정책 중장기 혁신방향(안)」1개 안건을 보고 안건으로 접수‧확정하였다.   ※ 심의회의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에 근거한 과학기술 정책 최고 심의기구로서, 의장(대통령), 부의장(염한웅 포스텍 교수) 및 5개 부처(기재‧교육‧과기정통‧산업‧중기부) 장관, 과기보좌관(간사위원), 민간위원 9명 등 총 17명으로 구성   □ 염한웅 부의장은 “정부는 역대 최대 규모의 3차 추경을 국회에 제출하고,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곧 발표하는 등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우리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넣는데 주안점을 두고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ㅇ “과학기술도 국가적 위기에 최대한 대응하면서도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국가 혁신 역량을 높이는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면서,   ㅇ “결국, 과학기술 혁신의 핵심은 연구개발(R&D)과 인재양성으로 오늘 상정된 두 안건, 국가R&D 예산 배분‧조정(안)과 과학기술인재정책 혁신방향이 위기대응과 혁신의 중요한 밑그림이 되므로, 관계 부처는 최선을 다해 혁신정책을 추진해 달라.”라고 당부하였다. □ 이번에 상정된 안건들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안건 1) 2021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   □ 심의회의는 「2021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을 심의하였으며, 심의회의에서 의결된 주요 R&D 규모는 ‘20년 대비 9.7% 증가한 총 21조 6,492억원 규모이다.   □ 2021년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코로나19에 따른 위기 극복 선도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미래 성장잠재력 확충에 집중 투자한다.   ㅇ 우선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및 차기 신·변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플랫폼 기술 확보 등 감염병 대응에 전년대비 117.2% 이상 투자를 대폭 확대하였다.   ※ (감염병) ’20년 1,738억원 → ’21년 3,776억원(117.2%↑)   ㅇ 또한 선도형 경제로의 전환을 위해 전 산업 D.N.A 융합 활성화 및 비대면산업 육성 등 디지털 뉴딜과 녹색인프라, 녹색신산업 육성 등 그린 뉴딜에 투자 역량을 집중하였다.   ※ (디지털뉴딜) ’20년 1조 379억원 → ’21년 1조 5,457억원(48.9%↑) ※ (그린뉴딜) ’20년 6,499억원 → ’21년 9,125억원(40.4%↑)   ㅇ 아울러 부처협업 등을 기반으로 바이오헬스, 미래차, 시스템 반도체 등 미래 선도형 신산업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3대 중점 분야에 투자를 확대하고,   ※ 3대 중점산업 : ‘20년 1조 7,161억원 → ’21년 2조 1,529억원(25.5%↑) ※ 바이오헬스(1.50조원, 30.4%↑), 미래차(0.39조원, 21.0%↑), 시스템반도체(0.27조원, 8.6%↑)   ㅇ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 기술자립화 및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등에도 지속적으로 투자를 강화한다.   ※ (소재·부품·장비) ’20년 1조 7,206억원 → ’21년 2조 1,043억원 (22.3%↑) ※ (기초연구) ’20년 2조 278억원 → ’21년 2조 3,484억원 (15.8%↑)   □ 이번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에서 의결된 「2021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은 기획재정부에 통보되고, 기획재정부는 인문사회 연구개발사업 등의 편성결과와 함께 내년 정부 예산(안)으로 확정하여 9월 중 국회에 송부할 예정이다. (안건 2) 과학기술인재정책 중장기 혁신방향(안)   □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인재정책 중장기 혁신방향(안)」을 심의회의에 보고하였다.   ㅇ 이는 금년 연말까지 수립 예정인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1~’25)」에 앞서 정책기조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산‧학‧연 등 각계 전문가들의 논의와 의견수렴을 통해 마련되었다.   □ 본 안건에서는 4차 산업혁명 가속화, 펜데믹 등 급변하는 환경과 향후 초고령사회(‘25년), 총인구감소 시대(‘28년) 진입에 미리 대응하기 위해 미래 과학기술인재 확보가 더욱 중요하다는 진단 아래, 3대 정책방향과 9대 중점과제를 제시하였다.   ※ 年박사배출 6,606명(’19) → 4,013명(’28), 석사 16,677명(’19) → 10,189명(`28) / ’19~’28년 10년 간 과기인력 약1만명 부족 ※ 글로벌 50대기업 요구 인재역량 1위 : (과거) ‘열정’ → (10년후) ‘위기대응력’(’19, 고용정보원)   ※ [참고] 과학기술인재정책 중장기 혁신방향 개괄도       중장기 혁신 중점 방향   기대 효과                 과학기술 인재 대상 【미래 정책방향】 󰊱 미래인재 육성체계 질적 혁신 󰊲 인재 성장‧유지 기반 적극 확충 󰊳 인재활용 외연‧다양성 확대   미래 과학기술인재상   미래인재 역할                   ▣육성 초‧중등생 ❶ 기초역량 제고 중심 수과학 교육 강화 ❷ 미래세대 과학기술혁신 분야 유입 촉진   ■ 탄탄한 기초역량, 변화대응력 보유   ◇ 지속적 국가 지식 확대와 과학기술혁신 주도 ⇒ 국가 위상제고와 불확실성 돌파 선도(First-Mover)형 국가 도약 견인   * 인재경쟁력 10위권 진입 (`30, 현재 30위권) 대학(원)생 ❸ 산업수요·현장중심 인력양성 체계 활성화                   ▣성장   신진연구자 ❹ 젊은 연구자 지원 강화 ❺ 연구인재 성장기반 확충   ■ 세계적 연구경쟁력, 과학기술혁신 지속창출력 보유   재직자 ❻ 전문역량 지속 개발체계 구축        활력 주입(다양성‧개방성 확대)           ▣유인 ❼ 해외인재 활용 전략성 제고 ❽ 여성 과학기술인 활동 지원 강화 ❾ 고경력 과기인 활약 체계 구축                         + 〖인재정책 인프라 강화〗 : 통계 고도화, 인재정책전문가 육성, 법제도 정비 등         □ 우선, 초중등・대학 등 과학기술인재 육성 체계를 질적으로 혁신하고 우수한 미래인재들이 과학기술 분야를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강화한다.   ㅇ 이를 위한 추진 검토과제로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미래사회 필수역량 중심으로 수과학교육을 강화하고, 동네과학관 등 생활밀접형 과학 문화를 활성화하는 한편, 기존 논문・학위 중심의 인재육성과정을 혁신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 또한, 젊은 연구자들이 해외로 유출되지 않고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정착・활약할 수 있는 성장 기반을 대폭 확충한다.   ㅇ 이를 위해 젊은 과학자의 안정적 연구지원 확대와 함께 세계적 수준 대학연구소 구축, 연구지원인력(테크니션 등) 확충 등 연구중심대학 연구기반을 강화하는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 인재 활용 외연 확대를 통해 과학기술 혁신활동에 활력을 주입하고, 여성‧고경력 과학기술인 등 다양한 인재들이 개개인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환경도 적극 조성한다.   ㅇ 이를 위한 추진 검토과제로 국내 파급력이 큰 글로벌 핵심인재의 전략적 유치를 위해 비자제도 개선 및 파격적 유치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ㅇ 여성, 고경력과학자의 지속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지원체계를 강화하는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 아울러, 인구감소 시대로 진입하는 상황에서 향후 10년은 미래 대비에 매우 중요한 시기로서 시의적절하고 면밀한 정책 수립・추진을 위한 대학원 총조사, 인재통계 고도화 등 데이터 기반 과기인재정책 인프라 강화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 과기정통부는 동안건에서 제시한 주요 방향성과 과제에 대해 관계부처 및 각계 의견수렴 등을 거쳐 연말 수립 예정인 「제4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21~’25)」에 반영할 계획이다.  

  • 언론기사
    제11회 심의회의 개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뉴스1)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내년 R&D 예산안' 의결 (이데일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3기 심의위원 5명 추가선임 (뉴시스) 발언하는 염한웅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뉴스핌) 내년 정부R&D 예산 감염병 대비, 한국판 뉴딜에 집중된다 (서울신문) 내년 정부 R&D, 감염병�바이오에 중점…2조원 투입 예고 (메디파나뉴스) 내년 한국판 뉴딜에 투자 역량 집중..젊은 연구자 성장기반도 확충 (뉴시스) 내년 R&D예산 21조6천억원..감염병대응·한국판뉴딜 등 집중투자 (연합뉴스) 감염병 대응·디지털 뉴딜 포함 내년도 정부 R&D 예산 26조원 전망 (브릿지경제신문) * 기사 제목을 클릭하시면 기사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 언론기사
    [수축사회가 온다] “코로나로 힘든 지금이 개혁 적기, 경직된 사회 구조 뚫자”(서중해 2기 심의위원)

    [수축사회가 온다] "코로나로 힘든 지금이 개혁 적기, 경직된 사회 구조 뚫자" 2020.06.12 | 한국일보  기사 제목을 클릭하시면 기사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 보도자료
    [보도자료]제3기 자문위원 추가선임

    □ 문재인 정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3기 자문위원 4명이 6월 12일자로 신규 위촉되었다.   o 이로서 제3기 자문회의 구성(올해 3월) 당시 공석이던 1명의 위원과 최근 임기가 종료된 3명의 위원(안성태, 정칠희, 박남규)을 모두 충원하여 총 12명의 위원으로 자문회의를 꾸려가게 된다.   □ 새로 위촉된 신규위원은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전문성 및 정책경험, 산·학·연 구성 비율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선정되었으며, o 대학 및 출연(연) 우수 연구자와 경제·산업분야에서 전문적 식견을 갖춘 인사가 포함되었다.    

  • 새소식
    [국.기.자 이야기] 제10회 심의회의 개최

    지난 5월 13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10회 심의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 심의회의에는 염한웅 부의장을 비롯하여 민간위원 8명과 정부위원 3명, 총12명이 참석하여 진행되었습니다. ​ 이번 회의에서는 총 3가지의 안건을 상정하였습니다. 안건 1. 제3차 국가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 기본계획(`20~`25)_수정의결 안건 2. 과학기술 현장규제 개선방안_원안의결 안건3. 제1차 문화유산 보존‧관리 및 활용 연구개발 기본계획(`21~`25)_원안의결​ 세 가지의 안건 중 원안의결된 안건2 「과학기술 현장규제 개선방안」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더 자세한 심의회의 내용이 궁금하다면?▼ https://www.pacst.go.kr/jsp/post/postCouncilView.jsp?post_id=1624&board_id=11&etc_cd1=COUN01#this 심의회의 | 국가 과학기술자문회의 본문내용 심의회의 [제10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10회 심의회의 결과 심의회의 서충희 2020-05-26 첨부파일 (안건 제2호) 과학기술 현장규제 개선방안.pdf (안건 제3호) 제1차 문화유산 보존·관리 및 활용 연구개발 기본계획.pdf 1. 회의 개요 ㅇ 일시/장소 : ’20.5.13(수), 16:00~17:30 / 자문회의 대회의실 ㅇ 참석 : 부의장(염한웅 포스텍 교수), 민간위원(8) 및 정부위원(3)* 등 총 12명   * 과기정통부 장관, 중기부 차관, 과기 보좌관 참석 (기재부... www.pacst.go.kr ​ ​ ​ ​ ​ ​ ​ ​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현장연구자가 연구에 매진할 수 있도록 연구 현장 개선을 위해 노력합니다.  

  • 언론기사
    [시론]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정, 이제 혁신을 혁신하라(염한웅 부의장)

    [시론]국가연구개발혁신법 제정, 이제 혁신을 혁신하라 2020.06.03 | 중앙일보  * 기사 제목을 클릭하시면 기사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first prev 55 56 57 58 59 next last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 광화문교보빌딩 13층 (03154) / 대표전화 : 02-733-4971 / FAX : 02-733-0039
COPYRIGHT© PRESIDENTIAL ADVISORY COUNCIL ON SCIENCE &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웹 접근성 우수사이트 인증마크(WA인증마크)
Facebook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