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기관소개
부의장 인사말 기관소개 주요 연혁 찾아오시는 길 지원단
전원 · 심의회의
심의위원 주요활동 산하 위원회 심의안건
자문회의
자문위원 주요활동 자문의제 소위원회 활동 정책연구보고서 백서
3대 이니셔티브
개요 AI-반도체 첨단바이오 퀀텀
국민소통
새소식 정책 및 연구 동향 보도자료 언론기사 포토갤러리 홍보자료 해외주요기관
KOR ENG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검색창 닫기
“”에 대해 1018건의 결과를 찾았습니다.

통합검색 더보기

국민소통

(검색결과 1018건)
  • 새소식
    [국.기.자 이야기] 제 3기 출범 및 소개

    지난 3월, 국가과학기술 자문회의 제 3기가 출범하여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과학기술 정책 컨트롤타워가 강화된 과학기술정책 최상위 자문·심의 기구로 자문기능과 심의기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자문기능은 혁신과 정보 및 인력의 개발을 위한 과학기술 발전 전략이나 주요 정책방향, 국가 과학기술 분야의 제도 개선 또는 정책 등에 관한 사항을 대통령에게 자문하는 기능으로, 이와 함께 과학기술 관련 정책에 대한 조정, 연구개발 계획 및 사업에 대한 조정, 연구개발 예산의 운용 등을 심의하는 기능도 함께 갖고 있습니다. ​ 그 중 자문위원은 자문회의에서 위임한 사항을 처리하거나 자문사항에 대한 사전 검토를 하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자문기능 역할을 수행합니다. ​ ▼아래 카드뉴스를 통해 3기 출범 및 활동 소식을 만나보겠습니다.▼ ​ ​ ​ ​ ​ ​ ​ ​  

  • 언론기사
    제9회 심의회의 개최

    방사광가속기 추가 건설 등 대형가속기 장기 로드맵 확정 (아이뉴스24)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추진 등 대형가속기 로드맵 확정 (머니투데이방송) 정부, 유튜브·웹툰 등 미디어 활용해 과학문화 콘텐츠 개발 (메트로신문) 과기부,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신규 구축 본격화 (헤럴드경제) 정부, 대형가속기 구축·운영·활용 장기 전략 의결 (메디컬투데이) 산업지원 다목적 방사광 가속기 만든다 (뉴스웍스) 경주 양성자가속기 빔라인 새 구축 (매일신문) 4대 대형가속기 신축·시설 확충 속도낸다 (디지털타임스) 대전, 글로벌 기초과학거점으로 거듭난다 (대전일보)   1조 규모 '차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 본격화..부지 선정 방식은? (머니투데이) * 기사 제목을 클릭하시면 기사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 포토갤러리
    제9회 심의회의 개최(20.03.24)

     

  • 보도자료
    [보도자료]제3기 자문위원 선임

    □ 문재인 정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3기 자문위원이 위촉되어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다.   o 문재인 정부 들어 통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로 개편된 이후 자문회의는 제1기(‘18년), 제2기(‘19년)에 이어 제3기가 출범하게 되었으며, 위원의 임기는 1년이다.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①자문회의(대통령 자문 기능)과 ②심의회의(정책 및 예산 심의 기능)로 구성되며, 이번에 선임된 위원은 ①자문회의 위원임.   o 염한웅 부의장은 제1기와 제2기에 이어 제3기 부의장으로 연임되었고, 8명의 위원이 새로 위촉되었다. 잔여임기가 남아 있는 3명의 위원을 포함하여 총 12명이 제3기 자문회의를 꾸려나가게 된다.   o 새로 위촉된 8명 중 6명은 여성위원이며, 분야별로는 바이오ㆍ기후변화ㆍ우주기술ㆍ해양과학 등 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우수 과학자를 비롯해 신약개발,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을 이끌고 있는 산업계 인사도 포함되었다.   o 새롭게 출범하는 제3기 자문회의는 중·장기적 과학기술 발전 비전을 제시하는 한편, 문재인 정부 하반기의 가시적인 과학기술 정책성과 창출을 위해 국민생활, 혁신성장 등 다양한 현안에 대해서도 체감도 높은 대안을 발굴하여 대통령에게 자문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 언론기사
    [기고]감염병, ‘원헬스’ 관점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손미원 2기 자문위원)

    [기고]감염병, '원헬스' 관점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2020.02.03 | 세계일보  * 기사 제목을 클릭하시면 기사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 정책연구
    기후변화대응 국가 RnD 및 국내외 기관 조사·분석연구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제 2 절 연구 목적 제 3 절 연구 범위 및 내용 제 4 절 연구 수행 추진체계   제 2 장 기후기술 감축 분야 R&D 투자 현황 조사 및 분석 연구 8   제 1 절 기후기술 감축 분야 R&D 투자현황 분석 개요 제 2 절 기후기술 감축 분야 R&D 투자현황 분석 총괄 제 3 절 기후기술 감축 분야 기술별 R&D 투자현황 분석 제 4 절 기후기술 R&D 효율화 방향 제 5 절 요약 및 시사점   제 3 장 기후변화 대응 관련 국내외 현황 조사 및 거버넌스 선진화 방안 연구   제 1 절 국내 기후변화 대응 관련 법·법정계획 조사 및 분석 제 2 절 정부부처의 기후변화 관련 업무 현황 조사․분석 제 3 절 지자체 기후변화대응 정책 조사 분석 제 4 절 국내 기후변화 관련 정보플랫폼 조사 분석 제 5 절 주요국 기후변화대응 체계 및 유관 기관 동향 조사 제 6 절 국내 기후변화대응 거버넌스 선진화 방안   제 4 장 결 론   제 1 절 기후기술 감축 분야 R&D 투자현황 조사 및 분석 결과 제 2 절 기후기술 분야 국내 거버넌스 조사 결과  

  • 정책연구
    과학기술 공공연구기관 역할 재정립 방안 연구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전개   제2장 공공연구기관의 이해   제1절 공공연구기관의 범위 제2절 공공연구기관의 성장   제3장 연구개발 중심 공공연구기관   제1절 국공립연구원 제2절 출연연구기관 제3절 전문생산기술연구소 제4절 시사점   제4장 연구개발 지원 중심 공공연구기관   제1절 연구개발특구 제2절 테크노파크 제3절 창조경제혁신센터 제4절 기타 지원기관 제5절 시사점   제5장 해외 공공연구기관의 개요   제1절 미국의 공공연구기관 제2절 유럽의 공공연구기관 제3절 시사점   제6장 정책적 시사점 및 제안   제1절 정책적 시사점 제2절 공공(연) 재역할 방향   ※ 상기 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공식입장이 아닌 정책연구진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 언론기사
    [기고] 경쟁력 있는 이공계 대학원을 만들자(송민령 2기 자문위원)

    [기고] 경쟁력 있는 이공계 대학원을 만들자 * 기사 제목을 클릭하시면 기사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 새소식
    2019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활동 리뷰

  • 포토갤러리
    제15회 자문회의 및 송별회(20.01.15)

     

first prev 57 58 59 60 61 next last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 광화문교보빌딩 13층 (03154) / 대표전화 : 02-733-4971 / FAX : 02-733-0039
COPYRIGHT© PRESIDENTIAL ADVISORY COUNCIL ON SCIENCE &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웹 접근성 우수사이트 인증마크(WA인증마크)
Facebook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