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기관소개
부의장 인사말 기관소개 주요 연혁 찾아오시는 길 지원단
전원 · 심의회의
심의위원 주요활동 산하 위원회 심의안건
자문회의
자문위원 주요활동 자문의제 소위원회 활동 정책연구보고서 백서
3대 이니셔티브
개요 AI-반도체 첨단바이오 퀀텀
국민소통
새소식 정책 및 연구 동향 보도자료 언론기사 포토갤러리 홍보자료 해외주요기관
KOR ENG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검색창 닫기
“”에 대해 1018건의 결과를 찾았습니다.

통합검색 더보기

국민소통

(검색결과 1018건)
  • 포토갤러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열린토론회 개최

  • 정책연구
    수요자 중심 인공지능 기술 혁신 방안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 2 절   연구 내용 및 방법  제 2 장   의료분야 사회 현안   제 1 절   수요자별 의료분야 사회 현안   제 2 절   소결 및 시사점  제 3 장   의료분야 인공지능 기술 현황 진단   제 1 절   인공지능 기술 개요   제 2 절   인공지능 기술 동향   제 3 절   의료분야 인공지능 기술 동향   제 4 절   의료분야 사회 현안 해결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 적용 사례  제 4 장   의료분야 인공지능 기술 혁신을 위한 현황 진단   제 1 절   의료분야 인공지능 기술 혁신을 위한 인프라 현황   제 2 절   의료분야 인공지능 기술 혁신을 위한 법제도 현황   제 3 절   SWOT 분석 결과  제 5 장   의료분야 수요자 중심 인공지능 기술 혁신을 위한 정책 제언   제 1 절   환자를 위한 정책 제언 및 추진과제   제 2 절   병원을 위한 정책 제언 및 추진과제   제 3 절   인공지능 기술 개발 기업을 위한 정책 제언 및 추진과제  제 6 장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 상기 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공식입장이 아닌 정책연구진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 보도자료
    [보도자료]제2회 심의회의 개최

    정부, 내년도 R&D 예산 기초연구 및 혁신성장 분야 투자 강화 과학기술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 등 국정철학 충실히 반영 - 염한웅 부의장 주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2회 심의회의 개최 - - 「`19년도 국가R&D 예산 배분‧조정(안)」등 5개 안건 의결, 1개 안건 접수 -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6월 29일(금) 오전 11시 30분에 한국과학기술 연구원(KIST) 국제협력관 제1회의실에서 염한웅 부의장 주재로 “제2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이하 심의회의)”를 개최하여,  ㅇ 「2019년도 정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 「제1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안)」, 「제4차 기초연구진흥 종합계획(안)」, 「제2차 과학기술기반 국민생활(사회) 문제해결 종합계획(안)」, 「제1차 국토교통 과학기술 연구개발 종합계획(안)」, 「혁신성장동력 추진현황 및 계획」등 6개 안건을 심의‧확정하였다.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에 근거한 과학기술분야 최고 심의기구로서, 의장(대통령), 부의장(염한웅 포스텍 교수) 및 5개 부처 장관, 과기보좌관(간사위원), 과학기술‧인문사회 각 분야 민간위원 10명 등 총 18명으로 구성 □ 염한웅 부의장은 “2019년도 국가R&D 예산 배분‧조정(안)은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 수립 후 처음 실시하는 것으로, 국정철학을 충실히 반영해 연구자 중심 기초연구 확대, 혁신성장 가속화, 재난‧안전 등 삶의 질 향상, 인력양성‧일자리 창출에 집중하였다”고 강조하고,  ㅇ “오늘 심의하는 정책들이 혁신성장 성과로 빠르게 가시화되고, 나아가 국민 행복 실현에도 이바지 할 수 있도록 관련 부처에서 실질적인 이행에 중심을 두고 노력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언론기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2회 심의회의 개최

    해양로봇·친환경선박…5대 해양수산 신사업 집중육성 (뉴스1)   국민참여 R&D 활성화…'사회문제해결동행단' 신설 (뉴스1)   내가 낸 세금, R&D 어디에 쓰이나 (헤럴드경제)   과학기술로 국민생활문제 해결한다 (디지털데일리)   문재인정부 연 20조 국가R&D 패러다임 대전환.."기초연구·혁신성장·4차혁명·안전·인력양성 집중"(서울경제)   내년 정부 R&D '기초연구·혁신성장' 투자 강화(부산일보)   내년 정부 R&D 예산 15.8조원, 기초연구·혁신성장 분야 투자 강화(노컷뉴스)   기초과학 연구비 5년내 2배로 늘려 2조5000억원(문화일보) 내년 국가 R&D 예산, 기초연구·8대 혁신성장사업에 집중(전자신문)   제2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이데일리)     * 기사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언론기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열린토론회 개최

    "R&D 혁신방안 모은다"…과학기술자문회의 토론회 개최 (연합뉴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민과 함께하는 ‘열린토론회’ 개최 (아주경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열린토론회 개최...R&D혁신 의견수렴 (뉴시스) 인사말하는 염한웅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뉴시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토론회 앞서 '드론군집비행' 시연 (뉴시스) * 기사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언론기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2회 심의회의 브리핑

    문미옥 과학기술보과좐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사전 브리핑' (뉴스1)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2회 심의회의 사전브리핑 (뉴스1)   문미옥 과학기술보좌관 '과학기술자문회의 제2회 심의회의 브리핑' (뉴스1)   * 기사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포토갤러리
    제2회 심의회의 개최

  • 보도자료
    [보도자료]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민과 함께하는‘열린토론회’개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민과 함께하는‘열린토론회’개최 - 과학기술 성과시연, 일반인 공개토론, 온라인 생중계 등 국민과 소통하는 토론회 진행 - □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이하 자문회의)는 6월 29일(금) 오전 10시부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토론회를 개최하여,  2가지 과학기술 혁신 정책을 주제로 발표 및 토론을 진행하였다.  ㅇ 이번 토론회는 「국가 R&D 혁신방안」, 「대학연구인력 권익강화 및 연구여건 개선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수렴을 위해,  ㅇ 자문회의 위원 뿐 아니라 대학, 출연(연) 등 연구기관, 기업 관계자 등과 함께 일반방청객 50여명이 함께 참석하는 공개 토론회로 진행되었으며,  ㅇ 토론의 전 과정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온라인 생중계 되는 등 국민과 소통하는 열린 토론으로 진행 되었다.     * 자문회의, 과기정통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페이스북 □ 첫 번째 주제인 국가 R&D 혁신방안에 대해 참석자들의 열띤 토론이 이어졌고, R&D 투자가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로 이어지기 위한 R&D 혁신 방향에 대한 각계각층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ㅇ 우리나라의 R&D 투자가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근본원인을 다양한 관점에서 토론하고 개선방향을 논의하였다.  ㅇ 특히 도전적인 고위험 혁신형 연구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과 공공(연)의 장기·공공연구 집중방안, 인력구조 개편 등 혁신적 변화방향에 대해 많은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ㅇ 기업 R&D지원체계도 질적 성장 위주로 전환하여 기업 주도의 창업활성화, 일자리창출, 공공분야 연계·협력 등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논의 되었다. □ 아울러, 미래 과학기술인의 성장을 위한 의견을 수렴하여 학생 연구 인력의 권익을 강화하는 한편 연구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도 토론하였다.  ㅇ 대학 연구자들의 행정부담을 줄이고, 학생연구원의 처우와 권리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되었으며, 특히 대학, 출연(연) 등에서의 안정적 처우 보장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들이 심도 있게 논의 되었다. □ 또한 토론 진행에 앞서 식전행사로 자율주행트램 탑승체험, 드론 군집비행 시연과 더불어, 틸트로터, 유전자가위 등 과학기술 성과를 전시하여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하였다. □ 염한웅 자문회의 부의장은 “이번 토론회가 현장 연구자 및 국민에게 과학기술 혁신의 공감대를 형성․확산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기대하며, ㅇ “앞으로도 자문회의는 지속적으로 연구자·국민과의 소통을 통해 과학기술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국민의 목소리를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 언론기사
    염한웅 과기자문회의 부의장 "국가 R&D 부실 원인은 정부의 리더십 부재"

    염한웅 과기자문회의 부의장 "국가 R&D 부실 원인은 정부의 리더십 부재" 2018.06.28 | 동아사이언스 * 기사 제목을 클릭하시면 기사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 새소식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열린 토론회 개최

    다가오는 6월 29일(금) 오전 10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열린' 토론회가 개최됩니다.   이번 '열린' 토론회에서는 연구기관 관계자(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전원, 출연연, 대학 등) 및 일반 방청객 등 100여명이 참석하여 최고과학기술 성과 시연·전시 관람 및 '국가 R&D 혁신 방안', '대학 연구인력 권익 강화 및 연구여건 개선 방안' 주제 발표에 대한 방청책 자유질문 & 부처관계자 답변도 진행될 예정입니다.   * 이번 '열린' 토론회는 6월 29일 행사당일에,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페이스북에서 온라인 생중계로도 함께 하실 수 있습니다.  

first prev 67 68 69 70 71 next last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 광화문교보빌딩 13층 (03154) / 대표전화 : 02-733-4971 / FAX : 02-733-0039
COPYRIGHT© PRESIDENTIAL ADVISORY COUNCIL ON SCIENCE &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웹 접근성 우수사이트 인증마크(WA인증마크)
Facebook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