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출범…연간 20조 R&D 정책 결정 (연합뉴스) R&D 혁신, 더 힘차게...'통합 자문회의' 공식 출범 (전자신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최상위 기구로 격상 (파이낸셜뉴스) 통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출범 (YTN) 과학기술 최상위 자문·심의기구 통합···R&D 효율성 높인다 (서울경제) 年20조 R&D예산 배분, 과학기술 컨트롤타워 17일 출범 (동아일보) 과학기술 최상위 자문기관 출범 (서울신문) 대통령이 의장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통합 출범 (조선비즈) 과학기술분야 최상위 자문?심의 기구 통합 (아주경제) 과학기술 최상위 자문·심의 기구 통합..의장은 대통령 (이데일리)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 목적 제3절 연구 내용과 방법 제2장 제4차 산업혁명과 인재양성 시스템 제1절 제4차 산업혁명의 개념 정의 제2절 인재양성 시스템 고도화 논의 제3장 국내 과학기술 인재양성 현황과 과제 제1절 인재양성의 과거와 현재 제2절 과학기술창의교육: 융합인재교육 제3절 과학기술을 위한 교육 내용과 교육 방식 제4절 미래를 위한 쟁점과 과제 제4장 인재양성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실태 조사 분석 제1절 조사 개요 제2절 인재양성 시스템 실태 조사 결과 제3절 시사점 제5장 주요국의 우수 사례 제1절 미국 실리콘밸리 테크숍의 융합인재양성 사례 제2절 중국 선전 중창공간의 융합인재양성 사례 제3절 주요국 사례의 시사점 제6장 정책 제언 제1절 현황 및 쟁점 제2절 인재양성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록] 설문지 ※ 상기 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공식입장이 아닌 정책연구진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Ⅰ. 연구배경 Ⅱ. 4차 산업혁명의 도전과 한국의 대응전략 1. 4차 산업혁명의 배경 2. 최근의 새로운 현상 3.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다양한 해석 4.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 대응 동향 5. 우리나라의 과제 Ⅲ. 신기술 안착(soft landing)을 위한 협력모델 구축 1. 현황진단 2. 선진국 사례1: ‘사회적 도전에 대응하는’ 연구개발과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와 혁신 3. 선진국 사례2: 사용자 참여형 혁신 모델로서의 리빙랩 4. 정책방향 Ⅳ. 신기술 관련 규제 시스템 효율화 1. 현황진단 2. 개인정보보호법제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3. 정책 방향 Ⅴ. 신기술의 사업화 촉진을 위한 민간역량 활성화 1. 우리나라의 신기술사업화 동향 및 문제점 2. 신기술사업화를 위한 바톤존 기업의 역할 3. 바톤존 추진주체로서 연구개발서비스현황 4. 신기술사업화 촉진 방안 참고문헌 ※ 상기 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공식입장이 아닌 정책연구진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내용 제3절 연구추진방법 제2장 4차 산업혁명의 대두와 주요국의 대응 현황 제1절 4차 산업혁명 등장의 주요 배경 제2절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 대응 현황 제3절 각국의 정책 초점과 시사점 제3장 기술변화에 따른 연구개발·혁신체계 미래변화 전망 제1절 4차 산업혁명의 기술변화 제2절 지능정보사회의 대내외적 영향 요소 제3절 한국적 맥락에서의 주요 변화 전망 제4장 국내 과학기술혁신체계 현황 및 진단 제1절 정부 R&D 시스템의 문제 제2절 정부 R&D 프로그램의 문제 제3절 정부 R&D 수행 주체의 문제 제5장 4차 산업혁명 대비를 위한 연구개발·혁신체계 개선 방안 제1절 핵심 비전 ‘新과학기술혁신체계’ 제2절 4차 산업혁명 대비를 위한 추진 전략 제3절 추진 과제 및 정책 제언 제6장 결론 참고문헌 ※ 상기 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공식입장이 아닌 정책연구진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