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기관소개
부의장 인사말 기관소개 주요 연혁 찾아오시는 길 지원단
전원 · 심의회의
심의위원 주요활동 산하 위원회 심의안건
자문회의
자문위원 주요활동 자문의제 소위원회 활동 정책연구보고서 백서
3대 이니셔티브
개요 AI-반도체 첨단바이오 퀀텀
국민소통
새소식 정책 및 연구 동향 보도자료 언론기사 포토갤러리 홍보자료 해외주요기관
KOR ENG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검색창 닫기
“”에 대해 1018건의 결과를 찾았습니다.

통합검색 더보기

국민소통

(검색결과 1018건)
  • 정책연구
    북한의 과학기술 현황 분석을 통한 협력이슈 발굴 연구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추진 방법 제2장 북한의 과학기술체제와 정책   제1절 국가과학기술계획   제2절 국가과학원 산하 연구소   제3절 대남 과학기술협력기관과 정책 제3장 국내 대북한 과학기술협력 수요   제1절 남북 과학기술협력 경과   제2절 출연연구기관 대북한 협력수요   제3절 남북 과학기술협력에 대한 시사점 제4장 남북 과학기술협력 추진방안   제1절 목표 및 추진전략   제2절 중점추진 과제   제3절 통일준비 이슈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제1절 결 론   제2절 시사점     ※ 상기 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공식입장이 아닌 정책연구진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 정책연구
    소재 고부가가치 신산업 창출을 위한 소재기술개발 전략 방안

    제 1 장 기획연구의 배경  제 1 절 연구의 배경  제 2 절 기획연구의 필요성  제 3 절 연구목표  제 4 절 연구의 내용 및 범위  제 5 절 연구수행 방법  제 6 절 연구수행 과정 제 2 장 소재기술 및 소재산업 동향 분석  제 1 절 소재기술 개발 동향  제 2 절 소재산업 발전 전망  제 3 절 소재산업 동향  제 4 절 소재기술 개발 정책과 주요 산업 정책과의 연계성 분석 제 3 장 소재기술 및 소재산업 발전 전망  제 1 절 소재기술 발전 전망  제 2 절 소재산업 발전 전망  제 3 절 소재 분야의 미래 정책 이슈  ※ 현황 및 전망에 관한 소결(小結) 및 정책 관점의 소재 용어에 대한 고찰 제 4 장 소재기술 개발 비전 및 추진전략  제 1 절 비전  제 2 절 추진방향  제 3 절 추진전략  제 4 절 추진방안 제 5 장 요약 및 제언  제 1 절 요 약  제 2 절 제 언 ※ 상기 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공식입장이 아닌 정책연구진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 정책연구
    인공지능 분야 국가경쟁력 제고 및 사업화 혁신 방안

    인공지능 분야 국가경쟁력 제고 및 사업화 혁신 방안   제1장 연구개요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표    제2절 연구의 내용    제3절 분석 방법론   제2장 인공지능 정의, 분류 및 미래상    제1절 인공지능의 정의 및 개념 및 진화방향       1. 인공지능의 정의 및 개념       2. 인공지능 기술의 진화방향    제2절 인공지능 기술분류       1. 기술분류    제3절 기술수준 현황    제4절 미래상 및 시나리오   제3장 인공지능 동향 분석    제1절 해외 주요국 인공지능 정책, R&D 및 규제 동향       1. 미국       2. 일본       3. 유럽       4. 중국       5. 한국    제2절 인공지능 산업 동향       1. 인공지능 산업 범위       2. 인공지능 산업 규모       3. 인공지능 관련 사업자 동향       4. IBM Watson 생태계 분석       5. 인공지능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       6. 해외 기업 인공지능 응용 사례       7. 국내 기업 인공지능 응용 사례   제4장 인공지능 정책, R&D, 산업활성화 제언    제1절 기술개발       1. 실용화 및 국산화 기술       2. 인공지능 융합 기술       3. 인공지능 원천 기술    제2절 인공지능 정책 제언       1. 현황진단       2. 문제점 분석       3. 정책제언       4. 기대효과    제3절 인공지능 산업활성화 및 생태계조성 제언       1. 플랫폼 지원       2. 부족한 AI 고급인력 확보 및 활용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제6장 별첨       1. AI 산업생태계 관련 업체 방문조사       2. 국내 인공지능(AI) 실태 조사       3. 참고문헌     ※ 상기 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공식입장이 아닌 정책연구진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 새소식
    2015년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책연구용역과제 주관연구기관 공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공고 제2015-04호] 2015년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책연구용역과제 주관연구기관 공모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3조의 규정에 따라 2015년도 과학기술 정책연구사업으로 추진할 아래 과제에 대한 주관연구기관을 다음과 같이 공모 합니다.    1. 협업적 혁신 촉진방안  자세한 내용은 첨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15년 12월 7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 보도자료
    [보도자료]DGIST 신성철 총장,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에 위촉

    DGIST 신성철 총장,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에 위촉   □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신성철 총장은 과학기술 혁신 등에 관한 대통령 자문에 응하기 위해 설치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장: 대통령, 이하 ‘자문회의’)의 제3기(2015.11.16.~2016.11.15) 부의장에 위촉되어     2015.11.30일 첫 번째 자문회의를 주재하였다.   □  이날 자문회의는 신성철 부의장 주재로 제3기 자문회의의 분과(과학기술기반 · 미래전략 · 창조경제)를 구성하고,      제1~2기 자문회의의 실적 분석을 통해 제3기 자문회의의 운영방향을 논의하였다.   ※ 참고 : 1.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개요                2. 제1~2기 자문보고 실적                3. 신성철 부의장 이력

  • 정책연구
    과학기술 외교역량 강화를 통한 글로벌 리더십 제고 방안

    제1장 문제제기   제2장 과학기술외교 개념과 주요 과학기술외교 이슈     2.1 21세기 세계질서와 과학기술외교     2.2 과학기술외교의 개념과 부상 배경   제3장 주요국 과학기술외교 현황     3.1 미국     3.2 중국     3.3 일본     3.4 영국     3.5 프랑스     3.6 독일     3.7 스위스     3.8 소결    제4장 한국과학기술외교 현황     4.1 과학기술외교 I 영역(양자/다자간 국제공동연구)      4.1.1 공동연구현황       4.1.2 주요 문제점       4.1.3 향후 전략      4.2 과학기술외교 II 영역(과학기술 국제기구 활동)       4.2.1 과학기술국제협정 현황       4.2.2 과학기술국제기구활동 현황       4.2.3 향후 전략      4.3 과학기술외교 III영역(과학기술ODA, 남북 과학기술협력 등)       4.3.1 과학기술ODA 및 남북 과학기술협력 현황       4.3.2 주요 문제점       4.3.3 시사점       4.3.4 향후 전략      4.4 한국과학기술외교 거버넌스와 전문 인력 양성       4.4.1 한국 과학기술외교 거버넌스 현황 및 문제점       4.4.2 한국 과학기술외교 거버넌스 개선 방안   제5장 과학기술 외교를 통한 글로벌 리더십 제고방안   참고문헌     ※ 상기 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공식입장이 아닌 정책연구진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 새소식
    2015년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책연구용역과제 주관연구기관 공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공고 제2015-03호] 2015년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책연구용역과제 주관연구기관 공모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3조의 규정에 따라 2015년도 과학기술 정책연구사업으로 추진할 아래 과제에 대한 주관연구기관을 다음과 같이 공모 합니다.      1. 창조사회견인을 위한 수학발전방안   자세한 내용은 첨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15년 11월 10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 보도자료
    [보도자료]제27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개최 (청와대 영빈관)

      “ 기초연구·소재기술 발전을 통해 창조경제 실현한다! ” - 제27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기초연구·소재기술 발전방안 보고 -   1. 박근혜 대통령은 ’15.10.22(목) 오전 10시, 청와대 영빈관에서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기초연구·소재기술 발전방안 보고회" 겸 제27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이하 ‘자문회의’)를 주재하였음  ㅇ 이날 자문회의는 자문회의 위원(21인, 이하 ‘자문위원’),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홍문종), 교육부·미래창조과학부·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 장관과 경제단체장, 산학연 관계자 등 각계 인사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ㅇ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기초연구 발전방안과 미래 신시장 선점을 위한 소재기술 혁신방안을 보고하고, 현장의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토론하는 시간을 가졌음   2. 그동안 우리의 기초연구와 소재기술은 외형적으로 빠르게 성장*하였고, 일부 분야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성과사례**도 배출하는 등 우리나라의 과학기술과 산업 성장을 이끄는데 크게 기여해왔음    *(기초연구) SCI 논문 수 세계 10위(51,588편, ’14), 세계 3대 저널(Nature/Science/Cell) 논문 수 세계 18위(54편, ’14)     (소재산업) 소재분야 무역수지 흑자가 25억불(’02)에서 220억불(’13)로 증가   **(K-STAR 핵융합로) 핵융합, 초전도체, 초고온 플라즈마 등 기초연구 기반 세계 최고수준의 원천기술 확보 중     (폴리케톤 신소재) ’13년 세계 최초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개발  ㅇ그러나, 지속되는 글로벌 경기 침체와 중국의 부상 등 불안정한 대외 환경 속에서, 국민소득 3만불을 넘어 4만불 시대로 대도약하고 미래 창조사회 실현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과학기술과 산업의 기반인 기초연구·소재기술이 창조경제의 초석이 되어 우리 경제의 기초 체력을 튼튼하게 하면서, 미래 핵심원천기술과 신산업을 창출하는 새로운 성장 모멘텀이 되어야 할 것임   3. 이러한 의미에서 자문회의는 그간 우리 기초연구·소재기술의 성과와 한계를 진단하고, 현장의 목소리와 관련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우리의 여건과 창조경제 패러다임에 맞는 새로운 발전방안을 준비하여 보고하게 되었음      

  • 정책연구
    과학기술기반 신흥안보(Emerging Security) 대응 방안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제2절 연구방법론   제3절 보고서 구성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글로벌 보건안보 구상과 국제보건규칙 2005   제2절 개인적 위협과 집단 보건안보   제3절 연구 목적   제3장 신흥 보건안보의 특성과 전략   제1절 신흥 보건안보 이슈   제2절 주요 이슈와 그 시사점   제3절 소 결   제4장 사이버 분야의 특성과 전략   제1절 사이버 분야의 특성   제2절 선진국 국가 전략 분석   제3절 국가 ID 관리 법·제도 현황   제4절 소 결   제5장 신흥 보건안보분야의 연구개발 현황과 분제점   제1절 글로벌 보건안보 구상 실천 패키지(Action Package)   제2절 전문가 델파이 설문조사 분석   제3절 2015 국내 메르스 유행에서 나타난 신흥보건안보의 취약점 분석   제4절 소 결   제6장 사이버 분야의 국내 현황과 문제점   제1절 국가 악성코드 대응 전략    제2절 국가 디지털 ID 전략   제3절 소 결   제7장 연구 결과와 연구의 제한점   제1절 신흥 보건안보 연구개발 전략    제2절 사이버 안보 연구 결과   제3절 연구의 제한점   제8장 기대효과   제1절 신흥 보건안보 측면    제2절 사이버 안보 측면   참고 문헌 부 록     ※ 상기 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공식입장이 아닌 정책연구진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 정책연구
    뇌(brain) 중심 융합과학의 세계적 허브 실현방안

    제1장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뇌 연구의 의의   제2장 국내외 정책동향     2.1 국내 외 연구정책     2.2 해외 정책 동향     2.3 시사점   제3장 뇌 융합 전략분야 발굴     3.1 뇌 융합 전략분야 발굴 과정     3.2 뇌 융합 전략연구 후보분야     3.3 전문가 설문 결과 및 전략분야 도출   제4장 정책제안     4.1 정책제안     4.2 기대효과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부록 1] 계층적 분석과정 개요 [부록 2] 뇌융합 중점연구분야 발굴을 위한 전문가 AHP설문지 [부록 3] 제17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발표자료(중간발표) [부록 4] 뇌 연구 4대 분야별 논문 및 특허 분석 [부록 5] 뇌 융합 중점 후보분야 논문 및 특허 분석     , 제1장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뇌 연구의 의의   제2장 국내외 정책동향     2.1 국내 외 연구정책     2.2 해외 정책 동향     2.3 시사점   제3장 뇌 융합 전략분야 발굴     3.1 뇌 융합 전략분야 발굴 과정     3.2 뇌 융합 전략연구 후보분야     3.3 전문가 설문 결과 및 전략분야 도출   제4장 정책제안     4.1 정책제안     4.2 기대효과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부록 1] 계층적 분석과정 개요 [부록 2] 뇌융합 중점연구분야 발굴을 위한 전문가 AHP설문지 [부록 3] 제17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발표자료(중간발표) [부록 4] 뇌 연구 4대 분야별 논문 및 특허 분석 [부록 5] 뇌 융합 중점 후보분야 논문 및 특허 분석     , 제1장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뇌 연구의 의의   제2장 국내외 정책동향     2.1 국내 외 연구정책     2.2 해외 정책 동향     2.3 시사점   제3장 뇌 융합 전략분야 발굴     3.1 뇌 융합 전략분야 발굴 과정     3.2 뇌 융합 전략연구 후보분야     3.3 전문가 설문 결과 및 전략분야 도출   제4장 정책제안     4.1 정책제안     4.2 기대효과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부록 1] 계층적 분석과정 개요 [부록 2] 뇌융합 중점연구분야 발굴을 위한 전문가 AHP설문지 [부록 3] 제17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발표자료(중간발표) [부록 4] 뇌 연구 4대 분야별 논문 및 특허 분석 [부록 5] 뇌 융합 중점 후보분야 논문 및 특허 분석       ※ 상기 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공식입장이 아닌 정책연구진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first prev 74 75 76 77 78 next last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 광화문교보빌딩 13층 (03154) / 대표전화 : 02-733-4971 / FAX : 02-733-0039
COPYRIGHT© PRESIDENTIAL ADVISORY COUNCIL ON SCIENCE &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웹 접근성 우수사이트 인증마크(WA인증마크)
Facebook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