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공고 제2014-04호]「초연결사회(Hyper-connectivity)를 대비한 사이버 안보 정책 제언」정책연구용역과제 주관연구기관 공모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3조의 규정에 따라 2014년도 과학기술 정책연구사업으로 추진할 아래 과제에 대한 주관연구기관을 다음과 같이 공모 합니다. 2014년 6월 10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는 최신의 과학기술 동향에 대하여 이해를 높이고 토론을 통해,자문회의 의제발굴과 연결하기 위하여 브라운백 미팅을 아래와 같이 개최합니다. 세 번째 행사로 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소장이신 이혜숙 자문위원님을 모시고 과학기술 젠더혁신에 관련한 정책방향에 대한 말씀을 듣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ㅇ (주제) 젠더혁신 : 아이디어로부터 시장까지 (Gendered Innovation : From Ideas to Markets) ㅇ (발표) 이혜숙 자문위원(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소장) ㅇ (일시) 2014년 6월 12일(목) 11:30~13:00 ㅇ (장소) 자문회의 대회의실 (광화문 KT빌딩 12층) 열띤 토론의 자리가 될 수 있도록 관심 있는 분의 많은 참여와 성원 부탁드립니다. (문의) 사무지원단 서덕록 정책연구위원 (dukrok@kist.re.kr, 02-733-4958)
제 1장 추진배경 및 필요성 1.1. 추진배경 1.2. 필요성 및 목적 제 2장 기초연구의 정의 및 역할 2.1. 기초연구의 개념 정립 2.2. 정부R&D 기초연구비의 산정 2.3. 기초연구투자와 국가발전의 상관관계 제 3장 우리나라 기초연구 역량 진단 및 선진화 현황 분석 3.1. 기초연구 진흥을 위한 정책적 노력 3.2. 우리나라 기초연구 투자 및 성과 현황 3.3. 우리나라 기초연구 선진화 현황 분석 및 개선 방향 도출 제 4장 주요 선진국 기초연구 투자 현황 분석 및 시사점 도출 4.1. 선진국 기초연구 투자 현황 분석 4.2. 선진국 기초연구 관련 정책 동향 4.3. 선진국 주요 기초연구 관련 기관 4.4. 선진국 기초연구의 선별적 벤치마킹 4.5. 선진국 시사점 도출 제 5장 기초연구 투자확대 전략 및 투자효율화 방안 5.1. 기초연구 투자확대 및 투자효율화 필요성 5.2. 기초연구 투자확대 전략 5.3. 기초연구 투자 효율화 방안 : 분야별 지원체계 구축 5.4. 기초연구 투자 효율화 방안 : 투자 포트폴리오 수립 제 6장 기초연구의 풀뿌리 강화 및 투트랙 전략 6.1. 기초연구 풀뿌리 강화 및 투트랙 전략 필요성 6.2. 기초연구 풀뿌리 지원 강화 6.3. 기초연구 투트랙 전략 : 창의성ㆍ도전성 강화 6.4. 기초연구 투트랙 전략 : 전략성ㆍ목적성 강화 제 7장 부처별 목적기초연구 현황 및 역량강화 방안 7.1. 부처별 목적기초연구 현황 7.2. 출연연구기관의 기초연구 방향 7.3. 부처별 목적기초사업의 개선 방향 제 8장 기초연구 지원 시스템 및 인프라 강화 방안 8.1. 기초연구 지원 시스템 개선 방안 8.2. 기초연구분야 우수인력 유치 지원 제도 8.3. 기초과학교육 강화 및 확산 방안 8.4. 기초연구 제도 및 환경관련 정책 제언 제 9장 결론 및 시사점 참고 문헌 [붙임] 기초연구 역량강화를 위한 기초연구 투자전략 ※ 상기 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공식입장이 아닌 정책연구진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 과제개요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표 2. 연구과제의 성격 Ⅰ. 취약분야의 모습 1. 취약분야의 정의 2. 취약분야의 국내 상황 3. 취약분야의 국외 상황 4. 시사점 Ⅱ. 과학기술과 농업분야 혁신 1. 세계농업 주도하는 수출형 농산업 2. 융합기술로 복합된 농업벤처 3. 현장밀착형 기술기반 Ⅲ. 과학기술과 소공인 분야 혁신 1. 강소형 소공인 생태계 구축 2. 현장밀착형 소공인 기술기반 조성 3. 소공인 미래성장 동력화 Ⅳ. 결론 결론 연구회 위원 ※ 상기 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공식입장이 아닌 정책연구진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의 배경 1. 연구 배경: 국내 현황 2. 연구 배경: 주요국 정책 동향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1. 인재 양성과 새로운 돌파구 2. 창의·융합형 인재 패러다임으로 전환 제 2 장 융합형 인재양성의 개념 및 필요성에 관한 이론적 검토 제 1 절 융합형 인재의 정의 1. 창의·융합의 개념과 실제 제 2 절 융합형 인재의 요건 1. 융합형 교육에 필요한 능력 제 3 절 융합형 인재의 중요성 1. 융합형 인재양성의 철학 2. Broad Gaussian형 인재 3. 융합형 인재와 Inspiration 제 4 절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분석적 틀 1. 연구의 목표 2. 연구 분석의 틀 제 3 장 한국형 융합 인재의 모습과 정부의 노력 제 1 절 한국의 미래발전의 모습 1. 주요 상위계획 및 하위계획 제 2 절 과학기술 환경변화와 과기인재 1. 과학기술인재상에 새로운 변화를 부르는 환경요인 2. 창조경제 등장과 창의인재 제 3 절 한국형 융합형 인재의 모습 1. 시대 변화에 따른 필요 인재상 2. 융합형 인재의 지향점 3. 시사점 제 4 절 한국형 융합형 인재양성의 방향: 융합성과 전문성의 조화 1. 미래사회를 이끌 이공계 인력의 필요 2. 인재양성을 위한 대학 현황과 한계 3. 융합형 인재를 위한 대학교육 패러다임 전환 방향 4. 주요 정책 대안 제 5 절 창의·융합인재양성 관련 정부 주요정책 1. 융합관련 전략 및 중장기 계획 2. 신기술 융합형 R&D사업 추진현황 3. 창의·융합 인재양성 및 대학정책 제 4 장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에 관한 국내외 사례 분석 제 1 절 국내 사례 1. 포항공과대학교 창의IT융합공학과 2.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3. 건국대학교 밀러MOT스쿨 4. DGIST 융복합대학 기초학부 제 2 절 해외 사례 1.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Dept. of Bioengineering 2. University of Wisconsin, Center for Sustainability and the Global Environment (SAGE) 3. Arizona State University, PSM Program 4. University of Sussex,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Research(SPRU) 제 5 장 한국형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혁신 방안 제 1 절 한국형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혁신 방향 1. 학제 개편의 방향 2. 학제 개편의 체계 제 2 절 한국형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추진전략 1. 국내 융합교육에 대한 기본 접근방법 2. 융합인재양성의 목표 및 4대 핵심전략 제 3 절 한국형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예시 1. 거시적 융합인재양성: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분야의 융합형 교육 커리큘럼 2. 미시적 융합인재양성: 과학기술 세부분야의 융합형 교육 커리큘럼 제 6 장 한국형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혁신의 정책과제 제 1 절 정부와 대학의 유기적 협력 강화 1. (가칭)융합인재양성 지원사업 시행 2. 기존 융합프로그램의 점진적 도입·운영 제 2 절 미래지향적 수요중심 교육설계 1. 산업계 수요 반영, 인재양성·활용 성과 제고 2. 기업의 적극적 동참 유도 및 지역 공헌 확대 제 3 절 자율성·경쟁성 강화를 통한 자생력 강화 1. 대학의 자율성 강화를 통한 자생력 강화 2. 융합프로그램간 선의의 경쟁성 도입으로 교육의 질 제고 제 4 절 중장기성-통합성 중심 인프라 구축 1. 융합교육 프로그램간 협력-네트워킹 체제 마련 2. 융합인재양성·활용관련 통합D/B 마련 제 7 장 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부 록 부록 1.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혁신방안 부록 2. 최종보고서 발표 PPT(별첨) 부록 3. 포항공과대학교 창의IT융합공학과 심층면접 부록 4.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전문가 의견 공청회 ※ 상기 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공식입장이 아닌 정책연구진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범위와 방법 Part 1 기술기반 창업 및 벤처 플랫폼 구축 제2장 기술기반 창업 현황 및 문제점 1. 기술기반창업 현황 2. 현재 기술기반창업의 문제점 제3장 국 내외 기술기반창업 지원 정책 1. 기술기반창업 지원 정책 현황 2. 기술기반창업 관련 최근 정책 동향 3. 주요 국가의 기술기반창업 지원 정책 제4장 기술기반창업 창업 사례 및 현장의견 1. 대학(원)생 창업 사례 2. 교수 창업 사례 3. 연구원 창업 사례 4. 기술기반 창업관련 현장 의견 5. 기술기반 창업관련 박사과정 FGI 제5장 기술기반창업 창업 활성화 방안 1. 기술기반창업 활성화를 위한 비전 및 추진 방향 2. 창업 Post-Doc 제도 신설 Part 2 연구개발 서비스업 구축 제6장 연구개발서비스업 현황 및 문제점 1. 연구개발서비스업 관련 선행연구 제7장 연구개발서비스업 정책 및 국내·외 현황 1. 연구개발서비스업 분류 및 현황 2. 연구개발서비스 정책추진과정 3. 연구개발서비스업 현황 4. 주요 국가의 연구개발서비스업 동향 제8장 국내 연구개발서비스업의 문제점 및 개선의견 1. 주요 애로사항 2. 국내 연구개발서비스업 관련 현장의견 3. 연구개발서비스업 사례 제9장 연구개발 서비스업 활성화 방안 1. 연구개발 서비스업 활성화를 위한 비전 및 추진 방향 2. 시장 정보 서비스업 활성화 ※ 상기 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공식입장이 아닌 정책연구진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는 최신의 과학기술 동향에 대하여 이해를 높이고 토론을 통해, 자문회의 의제발굴과 연결하기 위하여 브라운백 미팅을 아래와 같이 개최합니다. 두 번째 행사로 3D프린팅 산업발전전략 포럼 의장이신 김창경 한양대 교수(전 교과부 차관)님을 모시고 3D프린팅 산업의 동향과 최근 확정된 3D 프린팅산업발전 국가전략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자리를 마련하였습니다. ㅇ (주제) 3D프린팅의 현황과 국가정책방향 ㅇ (발표) 김창경 한양대교수(3D 프린팅 산업발전전략 포럼 의장) ㅇ (일시) 2014년 5월 22일(목) 11:30~13:00 ㅇ (장소) 자문회의 대회의실 (광화문 KT빌딩 12층)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3D 프린팅 산업에 대한 국가전략에 대하여 토론할 수 있는 자리가 될 수 있도록 관심 있는 분의 많은 참여와 성원 부탁드립니다. (문의) 사무지원단 서덕록 정책연구위원 (dukrok@kist.re.kr, 02-733-4958)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공고 제2014-02호] 「과학기술 연구개발 및 지식확산에서의 '젠더혁신' 방안」정책연구용역과제 주관연구기관 공모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3조의 규정에 따라 2014년도 과학기술 정책연구사업으로 추진할 아래 과제에 대한 주관연구기관을 다음과 같이 공모 합니다. 2014년 5월 13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공고 제2014-03호] 「바이오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개선 방안」정책연구용역과제 주관연구기관 공모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3조의 규정에 따라 2014년도 과학기술 정책연구사업으로 추진할 아래 과제에 대한 주관연구기관을 다음과 같이 공모 합니다. 2014년 5월 13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제9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아래와 같이 개최함을 알려드립니다. ○ 일시 : 2014.5.15(목), 16:00~18:00 ○ 장소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회의실(광화문 KT빌딩 12층) ○ 참석대상 : 자문위원 등 40여 명 ○ 회의안건 - 대면보고 후속조치 추진현황 - 자문회의 정책연구 진행상황 보고 및 점검 - 차기 대면보고 후보의제 선정 및 보고 준비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