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기관소개
부의장 인사말 기관소개 주요 연혁 찾아오시는 길 지원단
전원 · 심의회의
심의위원 주요활동 산하 위원회 심의안건
자문회의
자문위원 주요활동 자문의제 소위원회 활동 정책연구보고서 백서
3대 이니셔티브
개요 AI-반도체 첨단바이오 퀀텀
국민소통
새소식 정책 및 연구 동향 보도자료 언론기사 포토갤러리 홍보자료 해외주요기관
KOR ENG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검색창 닫기
“”에 대해 1017건의 결과를 찾았습니다.

통합검색 더보기

국민소통

(검색결과 1017건)
  • 새소식
    제1회 브라운백 미팅 개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는 최신의 과학기술 동향에 대하여 이해를 높이고 토론을 통해, 자문회의 의제발굴과 연결하기 위하여 브라운백 미팅을 아래와 같이 개최합니다.   그 첫번째 행사로 사물인터넷 포럼 의장이신 이명근 SKT 부사장님을 모시고 IoT(사물인터넷)의 최근동향과 국가정책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자리를 준비하였습니다.     ㅇ (주제) IoT(사물인터넷)의 최근 동향과 국가정책방향(가제)   ㅇ (발표) 이명근  SKT 기업사업부문장(부사장, 사물인터넷포럼 의장)   ㅇ (일시) 2014년 5월 9일(금) 11:30~13:00   ㅇ (장소) 자문회의 대회의실 (광화문 KT빌딩 12층)   관심 있는 분의 많은 참여와 성원 부탁드립니다. (문의) 사무지원단 서덕록 정책연구위원 (dukrok@kist.re.kr, 02-733-4958)

  • 보도자료
    [보도자료]제8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개최

    제8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개최   "공대혁신과 성과확산을 통해 창조경제 이끈다!" -'14.4.10(목), 제8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개최,   창조경제의 전진기지화를 위한 공과대학 혁신, 과학기술 성과확산을 위한 기술출자기업 활성화 방안, 개방형 기술가치 평가체제 구축 방안 보고   1.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장:대통령)는 제8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이하 자문회의)를 '14. 4. 10(목) 오전 10시 청와대 영빈관에서 개최하였음. o 이날 회의는 자문위원과 미래창조과학부 등 관계부처 장관을 비롯해 경제계, 금융계, 대학, 기술사업화 관계자 등 각계 인사 180여명이 참석하여 공과대학 혁신방안 등 3개 안건을 보고하고 이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등 생생한 토의가 이루어졌음   2. 첫 번째 안건으로 자문회의 신성철 위원(DGIST 총장)은 공공기술의 사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출자기업 활성화 방안'을 보고하였음 o 우리나라는 '60년대 이후 과학기술 분야에서 눈부실 정도의 양적성장을 이루었으나, 개발된 지식·기술로 인한 경제효과는 세계 39위에 그치는 등 개발된 기술이 상용화로 이어지는 성과 확산은 여전히 저조한 상황임 o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 출연연 등 공공연구기관의 우수 기술과 민간기업의 경영 인프라를 결합시킨 기술출자기업 활성화를 통해, 우수기술의 사업화를 촉진하고, 수익을 기술개발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음 o 아울러 기술출자기업 관련하여 기술과 비즈니스의 효과적 연결, 혁신 생태계 조성, 인력·제도 개선 및 효율적인 시장 신입 지원방안 등도 논의되었음   3.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지식재산(IP)·기술에 대한 「시장주도 개방형 가치평가 체제 구축방안」 을 관련부처들을 대표하여 보고하였음 o  「시장주도 개방형 가치평가 체제」는 현재 보증 중심의 평가체제를, 단기적으로는 수요자 신뢰도가 높은 평가기반을 구축하여 금융권과의 협업체계를 갖추는데 주력하고, 궁극적으로는 기술평가와 금융이 시장에 의해 이루어지는 모습을 갖추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음 o 특히, 지난 10월 국무회의에서 확정한 가치평가 신뢰도 제고방안의 추진실적을 공유하고, 향후 부처간 과제 연계·협업을 집중 논의   4. 세 번째 안건으로 자문회의 권동일 위원(서울대 교수)이 공과대학의 문제점 진단과 혁신방향을, 미래부, 교육부, 산업부 공동으로 준비한 공과대학의 문제점 진단과 혁신방향을, 미래부, 교육부, 산업부 공동으로 준비한 공과대학 혁신방안을 '공과대학혁신위원회' 이준식 위원장(서울대 연구부총장)이 보고를 하였음 o 현재 우리나라 공대 졸업생 수는 '13년 기준 69천명으로 OECD 최고수준이나, 산업계 관점에서 볼 때 졸업 루 전공지식과 실무능력 부족, 기업현장 적응능력 부족 등 문제점을 제기되어 왔음 o 공과대학혁신위원회는 문제의 원인으로는 주요 재정지원사업과 교수평가가 SCI 논문 중심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교수들이 논문 중심으로 갈 수 밖에 없고, - 논문 실적위주로 교수를 채용하다보니 현장 감각이 있는 교수진의 부족으로 학교 수업과 현장과의 괴리가 있을 수 밖에 없다고 지적하였음. o 이에 따라 대학 재정지원사업 평가에 실용적·질적 지표를 대폭 강화하고, 산학협력·교육활동도 공정하게 평가하는 시스템으로 개편함으로써 교육·활동도 공정하게 평가하는 시스템으로 개편함으로써 교육·연구 개선의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것이 주요내용임 o 공과대학혁신위원회 이준식 위원장은 "재정지원사업의 평가가 보다 실용적으로 개선되면 교수평가가 실용적으로 개선되고, 교육, 연구의 현장지향성 강화로 연결됨으로써 미래성장을 이끄는 창의적 공학인재가 양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과대학은 제 역학을 다해낼 수 있을 것" 이라고 강한 기대를 표명하였음   문의: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사무지원단 염기수 팀장(02-733-4951), 엄혜선 사무관(02-733-4914)

  • 새소식
    제8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개최

    제8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아래와 같이 개최함을 알려드립니다. ○ 일시 : 2014.4.10(목), 10:00~11:20 (80분) ○ 장소 : BH 영빈관 ○ 참석대상 : 자문위원 등 179명 (예정) ○ 회의안건 : 자문의제(3개 안건) 보고 및 토론  - (안건1) 기술출자기업 활성화 방안 (신성철 위원)  - (안건2) 개방형 가치평가체제 구축 (최문기 미래부 장관)  - (안건3) 공과대학 혁신방안 (권동일 위원, 이준식 공과대학 혁신위원장) * 보고종료 후 박상대 부의장 주재로 안건별 토론 진행

  • 새소식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후원, "2014 창조경제 글로벌 포럼" 개최

    「창조경제 글로벌 포럼 2014」개최 - 2014 Global Forum on Creative Economy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 이하 미래부)는 3월 19일(수) 소공동 롯데호텔에서『2014 창조경제 글로벌포럼(이하 포럼)』을 개최한다.   o 이번 포럼은 “국가 발전 전략으로서의 창조경제 : 글로벌 관점”이라는 주제 하에 핵심 국정전략인 ‘창조경제’의 국내적 관심과 참여를 글로벌 영역으로 확장하고, 주요 이슈에 대한 논의와 국내외 사례의 공유를 통해 향후 창조경제 발전방향과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국내외 전문가와 오피니언 리더들이 다수 초청되었다.(붙임3 참조)   □ 포럼은 최문기 장관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정홍원 국무총리의 축사를 통해 창조경제 글로벌 포럼의 서막을 알리고,   o 뒤 이은 기조연설은 ‘3D로보틱스’ CEO이자, ‘롱테일 경제학’, ‘FREE', '메이커스(Makers)' 등 베스트셀러의 저자인 Chris Anderson이 ‘Building Open Innovation Cultures’를 주제로 개방형 혁신 생태계의 발전방향 등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 포럼은 총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되며, 세션별 주제는 다음과 같다.   o (세션 1) 글로벌 스타트업 육성 전략(엑셀러레이팅, 네트워킹, 플랫폼)   o (세션 2) 융합 기반 산업 활성화 전략 : 과학기술·ICT의 역할   o (세션 3) 글로벌 인터넷 신산업 창출(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정보보호)   □ 세션 1은 ‘글로벌 스타트업 육성 전략 : 엑셀러레이팅, 네트워킹, 플랫폼’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며, 사전행사로 국내 20여개 엑셀러레이터 전문기관들의 협의체인 '엑셀러레이터 리더스 포럼(accelerator leaders forum)' 발족식이 개최된다.   o ‘엑셀러레이터 리더스 포럼’은 국내 스타트업의 성공을 가속화시키는 핵심 기관으로서 엑셀러레이터의 미래 비전과 목표를 대내외적으로 밝히고, 현재 활성화 초기단계에 있는 엑셀러레이터의 발전과 상호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업계 자율적으로 구성되었다.   o 주제 발표는 ‘벤처 육성을 위한 엑셀러레이터의 역할과 상호협력 방안’ (Jon Bradford 英 Techstars London Managing Director), ‘네트워킹을 통한 창업자간 교류·협업 활성화 방안’(Ilkka Kivimaki 핀란드 알토대 Startup Souna Chairman & Head Coach), ‘개방형 혁신 플랫폼의 사례와 발전방향’(Daren Brabham 미국 USC대 교수) 등의 소주제로 구성되며,   o 패널토론에서는 좌장인 이장우 한국경영학회장의 진행으로, 오덕환 미래글로벌창업지원센터장, 김호민 Sparklabs 설립자, 최원식 맥킨지 한국사무소 대표(국민경제자문회의 창조경제분과 위원장) 등이 참여하여 창업지원 인프라의 국내외 동향과 글로벌 창업활성화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 세션 2는 ‘융합기반 산업 활성화 전략 : 과학기술·ICT의 역할’을 주제로 관련 발표와 패널토론이 이루어진다.   o 주제 발표는 ‘새로운 성장과 도약의 원천 : 과학기술·ICT’(이상문 美 네브래스카주립대 석좌교수), ‘농업분야 과학기술·ICT 융합’ (Frits van Evert 네덜란드 Wageningen대 교수), ‘의료분야 과학기술·ICT 융합’(Miguel Mellick 프랑스 Robotik Technology CEO)의 소주제로 구성되며,   o 패널토론에서는 좌장인 김용민 포항공대 총장(과학기술자문회의 과학기술기반분과 위원)의 진행으로 현대원 서강대 교수(국민경제자문회의 창조경제분과 위원), 손정익 서울대 교수, 오병희 서울대 병원장 등이 참여하여 과학기술·ICT와 산업의 융합에 대해 열띤 토론을 펼칠 예정이다.   □ 세션 3은 ‘글로벌 인터넷 신산업 창출(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정보보호)’를 주제로 한 발표와 패널토론으로 진행된다.   o 주제 발표는 ‘초연결 사회의 변화와 전망’(Gerry Reilly IBM UK CTO), ‘빅데이터의 창조적 가치와 활용방안’(Joshua Goff McKinsey Senior Expert), ‘정보보호, 골칫거리에서 신산업 창출로’(Aviram Jenik 美 Beyond Security사 대표)의 소주제에 대해 이루어질 예정이며,   o 패널토론에서는 이재용 연세대 교수(좌장), 이윤덕 성균관대 교수, 차상균 서울대 교수, 홍민표 에스이웍스 대표가 참여하여 미래 초연결사회 대응을 통한 인터넷 기반의 글로벌 신산업 창출에 관하여 토론할 예정이다.   □ 약 400명 규모로 진행될 본 포럼은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gfce.kr)를 통해 일반 참가자의 참가 신청도 접수하며(~3.17일까지, 선착순), 참가비 없이 무료이다(발표자료집 및 중식 제공)   o 자세한 프로그램 및 행사등록방법은 포럼 홈페이지(http://www.gfc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 : 창조경제기획과 이창희 과장(02-2110-2070), 박진영 사무관(02-2110-2079

  • 새소식
    제7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개최

    제7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를 아래와 같이 개최함을 알려드립니다. ○ 일시 : 2014.3.13(목), 16:00~18:30 ○ 장소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회의실(광화문 KT빌딩 12층) ○ 참석대상 : 자문위원 등 40여 명 ○ 회의안건(잠정)  - 자문회의 대면보고 추진상황  - 대면보고 의제 준비상황 및 진행관련 역할 분담(안)  - 단기용역(4개) 포함 5개 과제 서면보고 추진방안

  • 새소식
    2014년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책연구용역과제 주관연구기관 공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공고 제2014-01호 2014년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책연구용역과제 주관연구기관 공모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3조의 규정에 따라 2014년도 과학기술 정책연구사업으로 추진할 아래 과제에 대한 주관연구기관을 다음과 같이 공모 합니다.   2014년 3월 4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 정책연구
    스마트그리드 조기실현을 위한 인프라 조성 방안에 대한 연구

    [정책연구 2013-03호] 스마트그리드 조기실현을 위한 인프라 조성 방안에 대한 연구   1. 연구의 개요 가) 연구의 필요성 나) 스마트 그리드 다) 핵심서비스 라) 창조형 에너지경제 마) 연구의 목표   2. 국내외 스마트그리드 현황 가) 국내현황 나) 국외현황   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가) 전력부족 문제의 해결 방법으로써, 스마트그리드 조기 구축을 위한 인프라 및 제도 마련 나) 에너지 기술/산업 분야에 ICT를 융합한 신사업 모델 창출 다) 대체에너지 기반 마련   4. 연구추진 전략 및 수행 내역 가) 연구추진 방법 및 전략 나) 연구추진 내역   5. 정책제안내역 가) 수요반응의무할당제 나) 창조형 에너지경제 다) 스마트그리드 기반의 분산전원 클러스터링 단지 구축   6.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국내외 스마트그리드 현황 부록 2. 수요반응의무할당제 설문현황 부록 3. 2013 하계 산업체 강제절전 현황 부록 4. 과학기술자문회의 발표자료 (2013/12/17) 부록 5. 과학기술자문회의 발표자료 (2014/1/17)     ※ 상기 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공식입장이 아닌 정책연구진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 정책연구
    혁신클러스터 성공사례 발굴 및 활성화 방안

    [정책연구 2013-04호] 혁신클러스터 성공사례 발굴 및 활성화 방안   Ⅰ. 제안배경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및 내용   Ⅱ. 혁신클러스터 정책 검토배경   1. 창조경제시대에 있어서 혁신클러스터의 역할   2. 우리나라 지역산업정책과 클러스터 정책의 전개   3. 우리나라 클러스터 정책의 문제   4. Post-cluster 정책의 필요   Ⅲ. 혁신클러스터 사례분석   1. G밸리와 대덕특구   2. 강원도와 전라남도 혁신클러스터 전략   3. 오송 바이오폴리스와 상암 DMC   4. 홍릉 연구단지와 판교테크노밸리 사례비교   5. 지자체중심 혁신클러스터 사례비교   6. 종합 및 시사점   Ⅳ. 혁신클러스터 현황과 정책과제   1. 현황과 문제점   2. 정책개선 필요성   3. 추진전략   4. 3대 추진전략별 기존 정부정책 검토   5. 정책방향과 과제   부록 1. 융복합 도시개발 관련 제도 현황 분석 부록 2. 산업단지 내 혁신지원기관 활동평가 부록 3. 1차, 2차 포럼자료     ※ 상기 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공식입장이 아닌 정책연구진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 정책연구
    국민 HQ 프로젝트 : 의료소비자 주도형 개인 건강정보 운영시스템 구축

    [2013-05호] 국민 HQ 프로젝트 : 의료소비자 주도형 개인 건강정보 운영시스템 구축   제 1 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가. 연구배경   나. 연구 필요성 2. 연구의 목표 및 범위   가. 연구 목적   나. 연구 범위 3. 개념 정의 및 뷴류체계   가. 의료 소비자 주도형 건강정보시스템의 개념   나. 의료 소비자 주도형 건강정보 시스템의 분류체계   제 2 장 의료소비자 주도형 의료서비스 현황 및 시사점  1. 주요국 사례조사   가. 국가별(일본, 미국)   나. 주요국의 모바일 QR코드 관련 기술 동향 2. 국내 현황 분석 및 시사점   가. 환자 대상 의료서비스 현황 분석 제 3 장 의료소비자 주도형 건강정보시스템 구축 추진 방향  1. SWOT 분석  2. 추진 방향   제 4 장 실현 목표   제 5 장 핵심 추진 과제 및 시범사업  1. 핵심 추진 과제    가. 환자 중심 건강 정보 통합 활성화를 위한 표준화 및 표준기술 개발 및 보급   나. 처방전 인쇄시 QR 코드 동반 인쇄를 위한 표준화 및 스마트폰 기반 개인관리시스템 구축   다. 메타데이터 서버 구축 및 건강정보 운영의 의미론적 상호 운영성 확보   라. 원격지 처방전 리필 허용 기준 정비 및 시스템 구축   마. 헬스케어에 기반한 질병 예방 방안   바. 식품 등의 표시사항 인쇄시 QR 코드 표준화 및 동반 인쇄 2. 시범사업(국민 HQ Project)   제 6 장 의료소비자 주도형 건강정보시스템 구축 실현 및 활성화에 필요한 정책적, 제도적 제언 1. 보건의료서비스의 역발상 : 의료기관 중심에서 환자 중심으로 2. 기존 관련법 개정 필요 없고, 저비용의 단순시스템 구축 3. 스마트폰에 의한 건강정보 서비스 실현으로 다양한 의료-ICT 융합 산업 발전 유도   제 7 장 결론 참고문헌     ※ 상기 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공식입장이 아닌 정책연구진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 정책연구
    민관 R&D 효과적 협업사례 발굴 및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정책연구 2013-01호] 민관 R&D 효과적 협업사례 발굴 및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1. 연구개요   1.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 수행 방법론   1.3 연구 수행 체계   1.4 주요 추진 경과 2. 기술협력에 대한 이해   2.1 기술협력의 개요   2.2 기술협력의 이론적 배경   2.3 기술협력 유형 및 특징 3. 민관 R&D 협력 현황 및 이슈   3.1 민관 R&D 협력 현황 및 성과   3.2 민관 R&D 협력 활성화를 위한 노력   3.3 민관 R&D 협력에 관한 주요 이슈   3.4 소결 4. 민관 R&D 협력 활성화 방안   4.1 기술 공급자 수요자간 장벽 낮추기   4.2 수요자 Trigger 形 협력 강화   4.3 출연(연)의 Global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문화 추구   4.4 중소기업 기술지원 사업 전면 재개편 부    록   부록1. 민관 R&D 협력 성공사례(출연(연) 대상 조사 결과)   부록2. 1차 소위원회 검토 자료   부록3. 2차 소위원회 검토 자료   부록4. 공청회 검토 자료     ※ 상기 보고서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공식입장이 아닌 정책연구진의 의견임을 알려드립니다.

first prev 81 82 83 84 85 next last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 광화문교보빌딩 13층 (03154) / 대표전화 : 02-733-4971 / FAX : 02-733-0039
COPYRIGHT© PRESIDENTIAL ADVISORY COUNCIL ON SCIENCE &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웹 접근성 우수사이트 인증마크(WA인증마크)
Facebook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