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기관소개
부의장 인사말 기관소개 주요 연혁 찾아오시는 길 지원단
전원 · 심의회의
심의위원 주요활동 산하 위원회 심의안건
자문회의
자문위원 주요활동 자문의제 소위원회 활동 정책연구보고서 백서
3대 이니셔티브
개요 AI-반도체 첨단바이오 퀀텀
국민소통
새소식 정책 및 연구 동향 보도자료 언론기사 포토갤러리 홍보자료 해외주요기관
KOR ENG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검색창 닫기
“”에 대해 1017건의 결과를 찾았습니다.

통합검색 더보기

국민소통

(검색결과 1017건)
  • 보도자료
    [보도자료]혁신 생태계 포럼 개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혁신 생태계 포럼 개최 - 국내 여러 지역 혁신 생태계 전문가 초청, 현장 중심 문제점 진단 및 활성화 방안 심층 토론 -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장 대통령, 부의장 박상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는 창조경제 시대 국정철학에 부합하는 혁신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해 「혁신생태계는 창조경제의 원동력이 될 수 있는가?」라는 제목으로 포럼을 개최한다. o 이 행사는 국내 혁신생태계 관련 다양한 주체 및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발제와 의견 개진을 통해 혁신생태계 육성전략에 대한 심층적인 토론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o 행사는 대전 대덕특구내에 있는 대덕테크비즈센터 8층, 충청지역사업평가원 대회의실에서 2013년 12월 16일 월요일 14:30~17:20까지 개최된다. o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국내 대표적인 혁신 생태계 설치지역인 대덕, 경기, 광주 등의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현장의 의견을 듣고자 하며, 혁신 생태계 성공사례에 비춰 볼 때 국내 혁신 생태계 활성화에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를 진단하고,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토의를 할 예정이다. □ 이번 행사는 우리 경제가 기존의 추격형에서 창조형으로 모습을 바꾸어 성장을 도모해야 하는 시점에서, 혁신 생태계 활성화를 통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며 창조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참고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혁신생태계 포럼 개최 계획(안) 문의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김진우 팀장(02-733-4913), 배재휘 정책연구위원(02-733-4916)

  • 새소식
    혁신 생태계 포럼 개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창조경제 시대 국정철학에 부합하는 혁신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해 「혁신생태계는 창조경제의 원동력이 될 수 있는가?」라는 주제로 포럼을 개최한다. ○ 주제 : 혁신클러스터는 창조경제의 원동력이 될 수 있는가? ○ 일 시 : 2013년 12월 16일(월), 14:30~17:20 ○ 장 소 : 대덕테크비즈센터 8층, 충청지역사업평가원 대회의실 ○ 주요내용 : 창조경제 시대, 국정철학에 부합하는 혁신클러스터 조성 및 활성화 방안마련을 위한 현장 의견수렴 ○ 참석자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창조경제분과장(강성모 KAIST 총장), 자문위원 및 전문위원, 연구과제 참여자, 지역혁신 관계자 등 40명 내외 ○ 주 최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 주 관 : 혁신클러스터 정책연구 TF ○ 후 원 : 충청지역사업평가원

  • 보도자료
    [보도자료]스마트그리드 방문 및 간담회 개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첫 현장방문으로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를 방문하고 현장간담회 개최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부의장 박상대 과총회장)는 ’13년 12월 11일(수)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를 방문하여 스마트그리드 기술보급 현황을 살펴보고, 스마트그리드 조기구축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현장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ㅇ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은 전력난 해소와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창출을 위해 지난 ‘09년부터 제주 구좌읍 일대에서 사업비 2,495억원(정부 766억원)을 들여 12개사업자(170업체)가 참여하여 컨소시엄형태로 추진해 온 사업이다. □ 이 날 간담회는 자문회의에서 박상대 부의장 등 8명과, 스마트그리드 사업단 관계자, 스마트그리드 컨소시엄 책임자 30여명이 참석하여 스마트그리드의 조기확산을 위하여 필요한 제도개선, 연구개발(R&D)투자 등 정책지원 등에 대한 정부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ㅇ 박상대 부의장은 인사말을 통해 전력난으로 인한 국민과 기업의 불편함을 조속한 시일내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그리드의 조기구축과 전력요금체계 개편의 필요성을 언급하였으며, ㅇ산업계에서는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정부의 투자확대, 확산로드맵 제시를 통해 융합신산업인 스마트그리드가 조속히 추진되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하였다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매년 겪고 있는 전력난 해소와 미래성장 동력 창출을 위하여 ‘스마트그리드 조기실현을 위한 인프라 조성방안’을 의제로 연구를 수행중에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과학기술 관련 현안에 대한 자문을 위해 다양한 현장방문과 의견수렴을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문의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최병완 팀장(02-733-4955), 서덕록 정책연구위원(02-733-4958)

  • 새소식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현장방문 간담회 개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를 방문하여 스마트그리드 기술보급 현황을 살펴보고, 스마트그리드 조기구축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현장간담회를 개최한다.     ○ 추진배경 : 동·하절기 반복되는 국가전력난 해소방안으로 제시된 스마트그리드 조기실현을 위한 실질적인 문제해결 및 정책방향 설정 필요 ○ 일시 : 2013.12.11(수) 09:00~20:30 ○ 장소 :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제주 구좌읍) / 홍보관 ○ 참석자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박상대 과총회장) 등 30여 명 ○ 주요활동 :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홍보관 방문 및 관련 연구시설 방문, 제주도 스마트그리드 담당부서 및 실증·확산사업 사업자* 간담회 * 한국전력, 전력거래소, 포스코ICT, 현대중공업,?LS산전, 현대오토에버, 짐코, SKT,?KT 등

  • 새소식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석학초청 특별강연회 개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는 「바이오경제시대 도래에 따른 국가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석학초청 특별강연회를 개최합니다. 관심 있는 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장소 : 2013.12.10(화) 11:00~12:00 / 자문회의 대회의실 ○ 강연자 : 김성호 UC버클리대 교수 * 생명현상을 규명하는 생체물질의 하나인 t-RNA 구조를 세계 최초로 규명하면서 한국인 중 노벨상에 가장 근접해 있다는 평을 받고 있는 재미과학자 ○ 강연주제 : 바이오 경제시대 도래에 따른 국가전략 모색 ○ 주요내용 : 연구활동과 경험을 통해서 본 한국의 바이오 육성 정책에 대해 강연 및 질의·응답

  • 새소식
    2013년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책연구용역과제 주관연구기관 공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공고 제2013-1호2013년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책연구용역과제 주관연구기관 공모「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3조의 규정에 따라 2013년도 과학기술 정책연구사업으로 추진할 아래 과제에 대한 주관연구기관을 다음과 같이 공모 합니다.2013년 11월 1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 정책연구
    국가연구개발투자의 효율적 자원배분시스템 구축연구 (Technology Map)

    1. 硏究期間 : `98. 10. 29 ~`98. 12. 28 2. 主要內容   ○ 국내외 국가 硏究開發事業 配分시스템 현황 - 국내외 국가 硏究企劃 시스템 - 國內外 主要 연구개발사업 비교 - 科學技術分類體系와 Technology Map - 우리나라 국가 硏究企劃 시스템의 문제점   ○ 국가 연구개발투자자원 配分模型 - 기본모델 및 科學技術 分類體系 확립방안 - 硏究開發 方向 및 향후 목표 설정 방안 - 연구개발 遂行能力 평가 방안   ○ 연구개발의 經濟性 分析 방안 - 新技術製品 전주기 경제성 분석모델 설정 - 妥當性分析(Feasibility Study) 단계 - 工程設計 및 모의 실험 - 財務分析 단계 - 국가적 效用價値 및 波及效果 단계

  • 정책연구
    개발도상국과의 국제협력을 통한 기반확충 방안

    연구 목표  - 인도ㆍ베트남 등 개발도상국들과의 과학기술인력교류사업을 발굴.육성하여, 해당국가의 풍부한 기초과학인력을 적극 활용하고 이를 통해 미래 한국의 기초과학기반을 확충 연구 내용  - 개도국 과학기술국제협력의 배경  - 개도국(베트남 및 인도) 과학기술정책 및 기술수준  - 국내 대개도국 과학기술국제협력 현황 및 문제점  - 해외 선진국의 대개도국 과학기술협력 현황  - 과학기술국제협력을 통한 기초과학기반 확충방안  연구 성과 - 과학기술 교류를 통한 국가간 성장 잠재력을 제고하고, 동북아 중심 국가로서의 역할 및 위상 강화를 위한 기반 확충방안 제시  

  • 정책연구
    신약개발을 위한 융합기술 인력 양성방안 연구

    신약개발을 위한 융합기술 인력 양성방안 연구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의 목표 및 내용    2. 국내외 신약개발 동향 2.1. 신약개발의 단계 2.2. 해외의 신약개발 동향 (1) 세계 의약품 시장 규모 (2) 해외 신약개발 동향 2.3. 국내의 신약개발 동향 (1) 국내 제약산업의 연구개발 현황 (2) 정부의 신약개발 투자 현황 (3) 신약개발 과제 현황 2.4. 신약개발의 주요 이슈 및 시사점 (1) 제약산업의 주요 이슈 (2) 국내 제약산업에 대한 시사점 2.5. 소결    3. 신약개발 관련 인력양성 3.1. BT 분야 인력양성 현황 (1) 국내 BT 분야 인력양성 현황 (2) BT 분야 주요 인력양성 사업 (3) 융합기술 인력의 필요성 3.2. 국내외 융합기술인력 양성 현황 (1) 신기술 융합화와 산업패러다임 변화 (2) 해외의 융합기술인력 양성 현황 (3) 국내의 융합기술인력 양성 현황 3.3. 신약개발을 위한 융합기술인력 양성의 필요성 (1) 양?한방 융합기술인력의 필요성 (2) 국내 유사 프로그램의 비교 (3) 융합기술인력의 수요예측 3.4. 소결    4. 신약개발을 위한 융합기술인력 양성 프로그램 기획 4.1. 프로그램 개요 4.2. 프로그램 세부 내용 4.3. 프로그램 추진 효율성 제고 방안 4.4. 타 프로그램과의 차별성 4.5. 소결    5. 결론 5.1. 신약개발을 위한 인력 양성의 당위성 5.2. 정책 제언    <참고문헌>    <첨부> 1. 융합기술인력 수요 예측을 위한 설문지 양식 2. 융합기술인력 수요 예측 설문 결과

  • 정책연구
    과학기술정책의 향후 과제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발전방향

    과학기술정책의 향후 과제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발전방향   Ⅰ. 연구개요   Ⅱ. 미래 과학기술 정책 아젠다 1. 과학기술의 중요성과 국민경제적 의의 2. 그간의 정책적 노력과 성과 3. 차기 정부가 당면하게 될 국내의 과학기술 환경?동향 4. 그간 지적된 한계와 시사점 5. 차기정부 과학기술정책 방향성과 과제 구조 6. 핵심추진과제  - 과학기술 재원의 지속적 확충 및 투자방향성 정립  - 과학기술 인프라 확충 및 구조개선  - 과학기술의 국가 경제 사회적 역할 강화  - 과학기술의 활력 강화 및 인식 전환   Ⅲ.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발전방안 1. 설립 및 운영현황 2. 핵심영역별 개선방안  

first prev 83 84 85 86 87 next last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 광화문교보빌딩 13층 (03154) / 대표전화 : 02-733-4971 / FAX : 02-733-0039
COPYRIGHT© PRESIDENTIAL ADVISORY COUNCIL ON SCIENCE &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웹 접근성 우수사이트 인증마크(WA인증마크)
Facebook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