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바로가기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기관소개
부의장 인사말 기관소개 주요 연혁 찾아오시는 길 지원단
전원 · 심의회의
심의위원 주요활동 산하 위원회 심의안건
자문회의
자문위원 주요활동 자문의제 소위원회 활동 정책연구보고서 백서
3대 이니셔티브
개요 AI-반도체 첨단바이오 퀀텀
국민소통
새소식 정책 및 연구 동향 보도자료 언론기사 포토갤러리 홍보자료 해외주요기관
KOR ENG
검색창 열기 검색창 닫기
검색창 닫기
“”에 대해 1017건의 결과를 찾았습니다.

통합검색 더보기

국민소통

(검색결과 1017건)
  • 정책연구
    국내외 최신과학기술 동향분석을 통한 정책개발연구(II)

    ㅇ 연구목표  - 선진 외국의 국가과학기술정책의 가장 핵심적인 이슈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전문가들의 활발한 연구와 토론을 거쳐 이들 이슈를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 ㅇ연구내용  - 일본의 최신 과학기술 국정 이슈  - 미국의 과학기술정책 기조외 의제  - 영국 과학기술 정책기조와 동향  - 산학연 협력현황 및 과제  - 벤처기업 현황 및 육성 전략  - 연구개발 특구육성 ㅇ 연구성과  -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정책과제 및 제시되는 해결방안은 후속 연구로 심층적으로 연구되어져 우리나라 과학기술발전에 공헌 할 수 있을 것임  

  • 정책연구
    국가과학기술정책의 효율성 제고방안

      ㅇ연구목표  - 기존의 국/내외 과학 기술 정책의 사례를 통해 각 국의 각 부처에 대한 정책 비교 분석을 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과학 기술 정책의 효율성제고 ㅇ 연구내용  - 과학기술부 정보통신부, 산업자원부 등 관련 부처의 과학기술정책 현황 분석.평가  - 미국, 일본, EU 등 각국의 과학기술 정책 및 시사점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회 활동을 중심으로 과학기술 현안 정리  ㅇ 연구성과  - 국내/외 과학 기술 정책에 대한 사례 및 분석에 대한 내용을 국가 과학 기술 정책의 참고 자료로 활용이 가능  - 국가 과학 기술 정책이 성공하였는지 실패하였는지에 대한 국내/외의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실패한 정책은 단점을 보완하고 성공한 정책은 국내 실정에 맞게 적용하여 과학 기술 정책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 정책연구
    민간출연 과학기술재단 설립 활성화 방안

    ㅇ 연구목표  - 민간 개인이나 기업의 기부금을 기반으로, 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연구개발 및 사업화를 추진하는 재단법인의 설립과 운영방안을 모색함.  ㅇ 연구내용  - 한국의 민간기부에 의한 재단활동에 대한 현황 및 분석  - 미국, 일본의 민간 과학기술재단의 형황 및 비교  - 한국의 민간출연 과학기술재단 설립 활성화 방안  . 현행 공익 비영리 재단 설립 애로사항  . 민간출연 과학기술재단 설립 및 운영 활성화 방안  ㅇ 기대성과  - 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재원조달에 있어서 정부 및 기업내 재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기부 등 재산의 사회환원의 모범적 사례를 발굴함으로써 반기업정서를 넘어서 기업의 역할에 대한 긍정적 문화를 조성하고 국민의 일체감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정책연구
    기술혁신이 주도하는 한국의 미래상 구상

    연구목표  - 기술혁신이 주도하는 한국사회와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의 기술혁신 주도 사회상의 모습을 분석하여 향후 10년 또는 20년 후의 기술혁신 주도의 전반적인 미래상과 핵심적인 사회부문의 모습을 제시하는 것임.  - 이러한 모습을 제시하기 위하여 거시적인 차원에서 To-Be에 초점을 두고 핵심적인 사회구성부문의 실현가능한 미래모습을 그려보며 구체적 후속연구를 위한 next-step framewk를 제안  연구내용  - 현재 한국사회에서의 기술혁신 기여 및 역할, 이에 부응하는 사회적 인프라와 소프트웨어 분석 그리고 선진국과의 비교 등을 통해 10년 또는 20년 후의 기술혁신 주도의 미래상 내용을 구상  - 기술혁신 기반 사회의 실현 가능한 모습(미래에 대한 비전과 모습)을 제시  - 미래한국사회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하위부분의 성취된(실현된) 모습 제시  - 과학기술은 미래사회 구축을 위하여 무엇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사회는 과학기술 발전을 위하여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를 전략적 차원에서 고려  &rarr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2020년을 초점으로 2015년을 포함하여 논의  - S&T Index에서 제시된 과학기술 발전 지표의 분석을 통해 미래상을 설계 (Hardware적인 정량/정성분석) 기대성과  - 미래 한국상 구축을 위한 핵심요인으로서 사회적인 인프라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논의를 위하여 기술혁신과 경제, 사회, 교육, 노동, 국제관계 등 주제별로 우리나라와 선진국 수준을 비교하고 바람직한 미래상을 구상.제시함으로써 관련 정책의 수립시에 필요한 정책정보를 제공  - 국제사회 국내 과학기술 집단 및 관련단체 등에서의 기술혁신의 위상정립 방안과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 지지도 등의 수준제고와 구체적인 과학기술문화 진흥의 전략적 추진방안으로 활용  

  • 정책연구
    과학기술중심사회 구축을 위한 과학문화 혁신방안

    연구 목표  - 지속가능한 경제발전을 가져다줄 토대이자 사회적 통합을 이루어낼 수 있는 21세기 시대정신으로서 과학문화의 정당성을 확립 연구 내용  - 과학기술의 교양화 방안 연구  - 과학문화의 산업화 방안 연구  - 세종프로젝트(가칭)의 추진가능성 탐색연구 연구 성과  - 과학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증진 및 과학적 가치 확산의 계기  - 범정부적 과학문화 정책의 비전 수립 및 구체화에 활용  

  • 정책연구
    과학기술현안과제 분석및 정책대안 연구(2)

    연구 목표  - 참여정부의 국정과제 중의 하나인 &lsquo과학기술중심사회 구축&rsquo과 &lsquo국가기술혁신체계&rsquo 구축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과학기술 분야의 현안과제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정책대안을 모색 연구 내용  - 기초연구투자 분석결과 및 향후 정책 방향  - 「창조적 인재강국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인력 육성 전략  - 기술가치평가 및 기술금융 활성화 방안  - 정부출연(연) 연구활성화 방안(안)  

  • 정책연구
    과학기술 국제협력 및 기술통상협력 강화방안

    ㅇ 연구목표  - 새로운 과학기술 국제화 전략 수립의 일환으로  ① 점증하는 기술통상마찰에 대한 대응전략  ② 세계적 과학기술자원의 공동활용을 위한 과학기술 국제협력 강화전략  ③ 지역경제통합과 과학기술 국제화의 연계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조사분석 및 정책대안 제시  ㅇ 연구내용  - 주요국의 과학기술 경쟁력 및 국제협력정책 현황  - 첨단기술무역 추이 및 기술통상마찰 분석  - 신 국가혁신체제(NIS)하의 한국의 과학기술 국제협력 전략  - 기술통상협력 강화방안  - 지역경제통합과 과학기술협력의 연계  - 과학기술 국제화 10대 과제 대안 제시  ㅇ 기대성과  - 신 국가혁신체제(NIS)의 비전에 부응하는 과학기술 국제협력 강화 중점전략.정책 대안의 제시로 정부 정책수행에 기여  - FTA 전략과 과학기술협력 정책의 연계에 의한 상승효과  - 세계의 과학기술자원 활용방안 제시로 원천.핵심기술 개발능력 제고에 기여  

  • 정책연구
    산학연 협력을 통한 과학기기 및 첨단기기산업 육성방안

    연구 목적  - 국내의 범용장비 및 차세대 첨단연구장비의 개발 및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차원의 중.장기적 정책수립 방안 마련 연구 내용  - 교육실습용 범용성 장비의 개발을 위한 정책 방향 수립  - 국가적인 차원에서 세계 최초의 상용화되지 않은 차세대 첨단 연구장비 개발을 위한 기본전략 및 정책방향 제시  - 선진 사례 조사 및 국내 과학기기.첨단기기 산업의 육성 방안 마련 연구 성과  - 과학기기산업의 문제점 및 제약요인 파악을 통한 과학기기산업 육성방안 제시  - 정부 주도의 분석기기 개발사업 추진 및 정책방향 설정을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  

  • 정책연구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유형별 분석과 차별적 정책 방향 설정연구

    ○ 연구 목표  - 우리나라 중소기업을 경쟁환경, 보유자원 및 경쟁력의 차이를 기준으로 유형화하고, 이를 토대로 각 유형별로 차별화된 수요자 중심의 정책 방향을 제시 ○ 연구 내용  - 중소기업의 유형 구분과 유형별 경영 환경, 전략 및 경쟁력 분석  - 기존 중소기업 지원 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 분석  - 중소기업의 유형별 지원 정책의 개선방향 제시  - 중소기업의 지원 정책 및 프로그램의 프로세스 및 조직체계의 개선안 제시 ○ 연구 성과  - 중소기업의 유형별로 차별화된 지원 정책과 프로그램의 설계 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중소기업 정책의 효과성과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 예산의 효율적 활용을 가능케 할? 것임.  - 중소기업의 유형별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가 추진해야 하는 정책 대안을 제시함  - 정부의 각종 중소기업 지원 정책들의 구조조정 방안 마련에 활용 활용.  - 중소기업 지원 조직의 정비와 전문성 강화 정책 수립에 활용.  

  • 정책연구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직무발명제도의 보상체계 개선방안

    ○ 연구 목표  -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에서 양질의 특허와 함께 기술이전 및 상업화 성공을 유인하기 위해 대학의 교수 및 대학원생, 공공연구기관의 연구개발자 등을 포함한 연구 인력과 이외의 기술이전기여자에 대한 유인(보상)체계의 설계 및 제시 ○ 연구 내용  - 직무발명 관련 해외(미국, 독일, 일본) 및 국내 동향 자료수집 및 비교분석  - 국내 공공연구기관과 대학의 연구개발자 및 기술이전기여자들을 대상으로 직무발명 및 기술이전에 따른 보상제도의 실효성 및 기술이전 성공과의 상관관계를 설문조사(웹, 대면) 및 인터뷰를 통해 분석.규명  - 직무발명 관련 정책적 개선사항을 제시하고, 정책적 개선사항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실천방안 고찰 ○ 기대성과  - 국내외 공공연구기관과 대학의 보상제도에 대한 사례를 통해 보상제도 설계  -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현재의 연구개발자 및 기술이전기여자들에 대한 보상제도의 실효성을 검증할 수 있음  - 효율적인 보상체계의 설계를 통해 기술이전의 촉진과 더불어 상업화 성공률의 제고가 기대됨  - 효율적인 보상체계의 설계를 통해 과학기술인 소득증대와 처우개선, 사기진작이 기대되며 이공계 진학률 제고에 기여함  - 공공연구기관과 국립대학에 대한 보상체계 연구를 통해 민간 기업에 있어 직무발명 보상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시 가능  

first prev 88 89 90 91 92 next last
PACST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 광화문교보빌딩 13층 (03154) / 대표전화 : 02-733-4971 / FAX : 02-733-0039
COPYRIGHT© PRESIDENTIAL ADVISORY COUNCIL ON SCIENCE &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웹 접근성 우수사이트 인증마크(WA인증마크)
Facebook
맨위로